|
|||||||
|
|||
|
|||
![]() ![]() ![]() ![]() |
![]() |
10일 열린 합동참모회의에서 이지스구축함 3척을 추가로 건조키로 한 가운데 2011년 6월 3일 울산 동방해상에서 첫 기동훈련에 나선 7600톤급 이지스구축함 율곡이이함(DDG-992)이 물살을 힘차게 가르며 기동하고 있다.(사진=국방일보) |
우리 해군은 2008년 세종대왕함ㆍ2010년 율곡이이함ㆍ2012년 서애유성룡함 등 3척의 이지스함을 차례로 전력화했으며, 이날 합참의 이지스함 소요 심의ㆍ의결에 따라 차질 없이 예산확보와 전력화가 이뤄질 경우 총 6척의 이지스함을 보유하게 된다.
합참은 이날 이 같은 합동참모회의 결과를 설명하면서 “북한 핵ㆍ미사일과 잠수함 등 북의 비대칭 위협과 국지도발에 대비해 탄도탄 탐지와 추적, 대잠 능력을 확충하고 전시에는 구역 대공방어, 수상함과 지상 핵심표적에 대한 타격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합참은 이어 “한반도 주변 잠재적 위협에 대해서도 해양주권 수호 차원에서 대응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가로 확보할 신형 이지스구축함은 현재의 이지스구축함(KDX-III)과 비교해 탄도탄 탐지와 추적 능력이 우수한 전투체계를 탑재하고, 통합 소나 체계를 설치해 잠수함과 잠수정 탐지 능력이 향상되도록 작전운용 성능을 설정했다.
이지스함을 추가 확보하기로 한 배경에 대해 국방부 관계관은 이날 “현재 우리 해군은 이지스함 3척을 갖고 있는데 1척은 운영, 1척은 대기, 1척은 정비 개념으로 운영하려면 굉장히 바쁘게 운영해야 한다” 며 “앞으로 기동함대 등 기동전력을 강화하려면 이지스함이 더 있어야만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밝혔다.
군 관계관은 이지스함 추가 확보 추진의 의미에 대해 “북한의 미사일 등 비대칭 위협에 대비할 때 좀 더 원활하게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됐다”며 “해군이 기동함대를 확보하는 데도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건조 비용과 관련해 또 다른 군 관계관은 “아직 구체적인 비용을 말할 단계는 아니다”고 전제한 한 뒤 “현 이지스함 확보할 때의 비용(약 3조 원)보다 더 늘어난 4조 원 정도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국회 국방위원회는 지난해 12월 “이지스함 추가 확보가 필요하다”며 이지스함 상세설계 연구에 필요한 예산을 2013 국방예산에 반영했으며, 지난 10월 정기국회 때도 이지스함 추가 확보 필요성을 제기했었다.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