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 목표치(27.4%) 초과 달성 기록, ’17년까지 40%달성을 위한 기틀 마련
여성가족부는 41개 중앙행정기관의 429개 정부위원회의 여성참여현황을 조사한 결과, 2013년 하반기(10월말 기준) 여성참여율은 상반기 대비(25.5%, 4월말 기준) 2.2%p 증가한 27.7%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7월 41개 중앙행정기관이 수립한「정부위원회 여성참여율 40% 달성을 위한 확대계획」의 올해 목표치인 27.4%를 초과달성한 수치이다.
2013년도 확대목표(10월말 기준)를 달성한 위원회는 417개(429개 대상 위원회 중 신설 등으로 확대목표 미수립 위원회 12개 제외) 중 373개로 90%에 해당하는 대다수의 위원회가 확대 목표를 충실히 이행했으며 목표치를 초과달성한 위원회도 53개로 1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29개 대상 위원회 중 여성참여율이 40%이상인 위원회도 113개로 상반기(90개)에 비해 23개나 늘어났으며, 소속 위원회의 여성참여율이 상반기 대비 5%p 이상 상승한 기관도 6개 기관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지난 7월 중앙행정기관 모두가 동참하여 수립한 ‘각 기관별ㆍ연도별 여성참여 확대계획’의 차질없는 이행을 위해 범부처가 스스로 노력한 결과로, 여성가족부는 각 부처가 위원회의 여성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위원회의 임기도래 일정을 모니터링하여 여성후보군을 사전 추천하는 등 각 부처와의 협력을 추진해 왔다.
2014년 2월14일부터 「여성발전기본법( ‘13.8.13 공포)」이 시행됨에 따라 정부는 위원회 구성시 한 성(性)이 위촉직 위원 수의 6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며 이를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이행해야 한다.
여성가족부는 정부위원회 여성참여율 40% 달성을 위해 매년 정부위원회 여성참여 현황과 연도별 확대계획을 조사해 공표하고, 필요한 경우 개선을 권고하기로 했다.
각 위원회 연도별 확대계획의 타당성과 여성참여율 목표치 미달성시 그 사유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여성정책조정회의(국무총리 주재) 산하 여성정책실무회의(여성가족부 차관 주재)에서 심의?의결할 예정이다.
여성가족부는 정부위원회의 여성참여 강화방안 등을 담은 심의안건「공공부문 여성대표성 제고계획(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하여 오는 12월 20일(금)에 열리는 여성정책조정회의에 보고할 예정이다.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은 “각 부처가 모두 동참해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나아가 이를 초과달성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성과이며 이는 범부처가 정부위원회 여성참여확대 필요성을 공감하고 스스로 노력한 결과로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하면서, “앞으로 정부는 연도별 확대목표 달성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미달성 사유에 대해 면밀히 분석하는 등 정부위원회 여성참여확대를 위한 노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자료제공 :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