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속보) 이재명 대통령 취임에 검찰 조직 '착잡'…강도 높은 개혁 예고에 술렁
입력 2025-06-04 16:08 | 기사 : 백설화 선임기자
카카오톡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으로 검찰 조직이 본격적인 수술대 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내부에서는 착잡한 기류가 팽배한 것으로 전해졌다. 과거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했던 검사 탄핵이나 특활비 전액 삭감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도 높은 개혁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분위기는 검찰이 막강한 수사·기소권을 남용하여 '살아있는 권력'은 봐주고 '정적 제거'를 위해 무리한 기소를 하는 등 그 자체로 강력한 권력 집단이 되었다는 인식이 사회 전반에 강하게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4월 15일에도 "검찰 수사권 문제는 어쨌든 기소하기 위해서 수사하게 허용해서는 안 된다. 수사 담당 기관, 기소 공소 유지 담당 기관은 분리하는 게 맞다"고 강조하며 검찰 개혁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수사·기소권을 모두 쥔 검찰청을 해체하고, 수사권은 신설되는 중대범죄수사청으로 넘기며, 기존 검찰은 기소만 담당하는 공소청 형태로 개편하는 방안 등이 유력하게 예상되는 상황이다.

대검찰청의 한 검사는 "검찰의 운명은 민주당에 달려 있는 것 아니겠냐"고 언급하며, "이재명 정부와 여당이 된 민주당이 몰아칠 텐데, 검찰의 협상력은 사실상 없는 것과 다름없다"는 체념에 가까운 반응을 보였다. 결국 수사로 검찰의 존재감을 드러내야 하지만, '12.3 내란'과 '주가조작', '명태균 게이트' 등 굵직한 사건들은 모두 특검이 예상되어 검찰의 역할은 더욱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 부장급 검사는 "수사·기소 분리에 제일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만약 검사들을 중수청으로 보낸다면 다들 옷 벗을 듯한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미 2022년부터 100명 이상씩 검사들이 퇴직하고 있는 상황에서, 올해는 검찰 개혁 속도에 따라 그야말로 '검찰 대탈출'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다만, 검사들이 퇴직 후 갈 만한 대형 로펌에 빈자리가 얼마 남지 않아 실제 사직 규모는 예상보다 적을 수 있다는 관측도 함께 나오고 있다. 이는 검찰 개혁의 현실적인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