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오늘(1일) 오전 9시로 예정된 내란 특별검사팀의 2차 소환 조사에 출석하지 않았다. 이는 특검의 소환 요구에 대한 윤 전 대통령 측의 첫 불응으로, 수사 장기화와 특검의 향후 강제 수단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윤 전 대통령 측 법률대리인단은 어제(30일) 오후 6시 50분경 특검에 출석 불가 의사를 전달했으며, 실제 윤 전 대통령은 오늘 특검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대리인단은 불출석 사유로 "지난 6월 28일 조사가 장시간 진행돼 윤 전 대통령이 29일 새벽에 귀가했음에도 특검이 충분한 시간적 여유 없이 즉시 재소환을 결정했다"고 밝히며, 특검의 촉박한 소환 일정에 대한 불만을 표출했다.
앞서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측이 7월 5일 이후로 기일 변경을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7월 1일 출석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박지영 내란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이 오늘 출석에 불응할 경우 즉시 특정 일자를 지정해 재차 소환을 통보하고, 이마저도 불응 시 형사소송법상 마지막 단계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히며 사실상 체포영장 재청구 가능성을 시사했다. 박 특검보는 재차 소환 일자로 7월 4일이나 5일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윤 전 대통령의 이번 2차 조사 불응은 특검의 강경 방침에도 불구하고 정면 돌파를 선택한 것으로 해석된다. 1차 조사에서 15시간의 청사 체류 중 실제 조사가 5시간에 불과했고, 특정 경찰관에게 조사를 받지 않겠다고 버텼던 전례가 있어 특검과의 갈등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불출석으로 인해 특검의 향후 강제 수사 방안, 특히 체포영장 재청구 여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