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속보) '채상병 해병 특검', 신범철 전 국방차관 소환…'윗선' 수사 본격화
입력 2025-09-10 10:26 | 기사 : 김장수 기자
카카오톡



'순직 해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규명 중인 특별검사팀이 10일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특검팀이 국방부 최고위급 인사를 직접 소환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 수사 외압 의혹의 '윗선'을 향한 수사가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 전 차관은 이날 오전 10시경 서울 서초구에 마련된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그는 '혐의를 인정하는지', '대통령실과 연락했는지' 등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은 채 곧장 조사실로 향했다. 특검팀은 신 전 차관을 상대로 지난해 7월 말부터 8월 초 사이,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가 뒤집히고 경찰에서 회수되는 과정 전반에 걸쳐 부당한 지시를 내리거나 압력을 행사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신 전 차관을 이번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 중 한 명으로 보고 있다. 그는 2023년 7월 31일, 임성근 당시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적시한 해병대 수사단의 보고를 받고 격노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뜻이 국방부와 해병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연결고리 역할을 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특히 그는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의 '이첩 보류' 지시 이후, 김계환 당시 해병대사령관에게 "혐의자와 혐의 사실을 빼라", "해병대는 왜 말을 안 듣냐"는 취지의 문자 메시지를 보내며 직접적으로 압력을 가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또한, 이 전 장관이 해외 출장으로 자리를 비웠던 2023년 8월 2일, 국방부 검찰단이 경북경찰청으로부터 사건 기록을 회수할 당시 장관 직무대행으로서 이를 지휘하고 승인한 최종 책임자이기도 하다.

특검팀은 최근 확보한 통화 내역 등을 통해 신 전 차관이 사건 기록 회수 전후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및 국방부 법무관리관실 등과 수시로 연락을 주고받은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신 전 차관에 대한 조사를 통해 당시 국방부의 의사결정 과정과 대통령실의 개입 여부 등을 확인한 뒤, 이르면 다음 주 중 이종섭 전 장관을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신문사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