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베트남 등 7개국 인프라 투자정보 공개
입력 2013-12-20 09:35 | 기사 : 국토해양부
카카오톡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우리기업의 해외 투자개발형사업 진출 지원을 위해 과거 타당성조사(F/S) 등을 통해 축적된 국가별 투자개발형사업 관련 국가현황, 인프라산업 계획 및 현황 분석, 투자관련 법률 및 투자유의사항(리스크 관리) 등을 해외건설협회 홈페이지(www.icak.or.kr)를 통해 20일(금)부터 제공한다.

이는 지난 8.28일 대외경제장관회의시 합의된 “해외건설ㆍ플랜트 수주 선진화 방안”에 따른 후속 조치로, 해외건설 수주구조 다변화 및 수익성 제고를 위해 과당경쟁과 저가수주가 빈번한 단순 도급사업 수주 위주에서 고수익 투자개발형 사업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다.


* 글로벌 건설시장에서 투자개발사업 비중은 ’10년에 24.8% 수준(WB)이나, ‘12년도 우리기업 수주비중은 1% 미만



금회 공개되는 투자정보는 국토부가 과거 타당성조사 등을 통해 축적한 베트남, DR콩고 등 7개국 철도, 발전, 도로 등 인프라 분야의 10건 사업*에 대한 투자 정보다.

< 국별 PPP사업 진출관련 투자정보 공개 사업>

①(베트남) 화물철도, 도시철도 및 열병합발전 ②(필리핀) 공항 ③(DR콩고) 도로, 정수장 및 광산개발 ④(파키스탄) 도로 ⑤(가나) 주택 ⑥(페루) 하수처리 ⑦(루마니아) 풍력발전


해당국 인프라개발 현황, 민자 사업 제도분석, 사업인허가 절차, 투자환경 및 인센티브 등의 PPP(Public-Private Partnership)사업 진출 검토 시 필수적인 투자 정보가 수록되어 있어 현지에서 투자개발형 사업 진출을 모색하는 기업들이 사업 예비 검토 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례로 베트남 열병합발전사업 투자정보의 경우, 현지 전력수급현황 및 계획, 신재생에너지 개발정책, 베트남 전력공사(EVN) 현황 분석, PPP 사업인허가 절차, 외국인투자관련 세제 및 투자 인센티브 등이 포함되어 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해당국가에서 유사 투자개발형 사업 추진을 모색하는 기업들이 위 정보를 활용할 경우, 신속한 사업검토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관련 검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해외 PPP 사업 진출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향후 국토부는 해외 투자개발형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 이후, 사업추진여부를 고려하여 투자정보를 단계적으로 공개함으로써, 우리기업의 해외 PPP사업 진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붙임 : 1. 국별 ㆍ 분야별 투자개발형사업 투자정보



[자료제공 :(www.korea.kr))]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