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한국과 중국이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의 ‘적군묘지’에 안장된 중국군 6ㆍ25 전사자 유해 425구의 송환에 합의했고 이를 위한 발굴작업을 시작했다고 국방부가 19일 밝혔다.
국방부는 이날 “한중 양국은 최근 수차례 중국군 유해송환 실무협의 끝에 이달 초 유해 송환에 합의했다”면서 “현재까지 발굴된 중국군 유해와 관련 유품을 가능한 한 조속한 시일 내에 중국 측에 인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양측은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계획된 일정에 따라 우호적으로 차질 없이 유해를 송환하기로 했다”면서 “중국군 유해 송환 합의로 양국관계 발전에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유해 송환과 관련한 모든 준비 작업은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을 중심으로 우리 측이 지원하고 중국으로의 송환 작업은 중국 측 책임 아래 추진될 전망이다.
국방부의 한 관계관은 “오늘 적군묘지에서 개토제를 시작으로 중국군 유해 발굴을 시작했다”면서 “발굴된 유해를 인도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데 2~3개월이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중국군 유해를 입관한 후 만년필이나 인장 등 개인별 유품, 감식기록지과 함께 중국 측에 인도할 방침이다.
적군묘지에 안장된 중국군 유해 송환 문제는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6월 중국을 방문했을 때 제안한 이후 양국 국방부 차원에서 각각 실무단을 구성해 논의해 왔다.
당시 박 대통령은 베이징(北京)의 칭화대(淸華大) 연설 직전 칭화대 출신 류옌둥(劉延東) 부총리와 10분간 환담하면서 중국군 유해 송환을 처음 제안했다.
정부는 6ㆍ25전쟁 이후 전국에 산재한 적군 유해를 모아 1996년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답곡리에 5204㎡ 규모로 적군묘지를 조성했다.
이 같은 적군묘지 조성은 교전 중 사망한 적군 유해를 존중하고 묘지도 관리해야 한다고 명시한 제네바 협정 추가 의정서 34조의 정신에 따른 것이다.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