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야생조류 저병원성 AI 증가세…올 겨울 AI 특별주의 필요
입력 2013-12-23 09:05 | 기사 : 환경부
카카오톡
야생조류 저병원성 AI 증가세…올 겨울 AI 특별주의 필요

▷ 2013년 야생조류 분변 조사결과, 하반기(9~11월)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검출률
상반기(1~4월) 대비 11배 증가
▷ 야생조류에서 AI 병원체 전파 방지 위해 관계기관 및 가금농가의 AI 철저 관리 필요

환경부(장관 윤성규)는 야생조류의 분변 중 조류인플루엔자(AI) 검출률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올 겨울 AI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관계기관, 농가 등에 요청했다고 20일 밝혔다.
※ AI : Avian Influenza, 조류인플루엔자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김삼권)은 2012년부터 전국 주요 철새도래지 12개 지역으로 대상을 확대해 전국 규모의 AI 모니터링과 야생조류 분변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2013년 조사결과, 하반기인 9∼11월 AI 바이러스 검출률은 13.4%로 전체 조사 시료 2,900건 중 389건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이는 6,100건 중 75건이 검출된 1~4월 상반기 검출률 1.2%보다 11배 증가한 수치다.
※ 조사는 AI가 주로 발생하는 겨울철새의 도래시기인 상반기(1~4월)와 하반기(9~12월)에 실시
※ 2012년 조사결과 : 9,927건 중 506건에서 검출(검출률: 5.1%),
상반기: 8,087건 중 356건(4.4%), 하반기: 1,840건 중 150건(8.2%)

검출된 AI 바이러스는 분석결과 모두 저병원성으로 판명됐다.

하지만 유전자 변이로 고병원성이 될 위험성이 높은 H5형 바이러스가 10월 충남 아산지역에서 15건 검출되어 겨울철 AI 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하반기 야생조류 AI 검출률이 크게 증가하고 H5형 바이러스도 일부 검출되는 등 이번 겨울철 AI 발생 위험성이 높아 관계기관과 사육농가의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특히, 야생동물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야생조류의 분산을 피하고 가금사육시설을 철저히 점검하는 등의 관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현재 12월에 채취한 분변의 분석을 진행 중이며 분석결과가 나오는 즉시 관계기관,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해 AI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AI 집중 관리시기인 내년 4월까지 야생조류 분변검사, 이동경로 분석 등 야생조류 AI 모니터링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AI에 취약한 철새에 대한 인공위성 위치추적을 실시하고, 고병원성 AI 발생지역을 경유해 국내에 회귀하는 철새에 대한 후속적인 정밀조사를 실시하는 등 신속하게 대응
할 예정이다.

<붙임> 1. 2013년 야생조류 AI 분석결과. 1부.
2. 철새도래지에서의 철새보전 가이드라인. 1부.
3. 야생조류 조류인플루엔자 주의 요령. 1부. 끝.

[자료제공 :(www.korea.kr))]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