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올 하반기 야생조류의 분변검사를 실시한 결과 9∼11월 AI 바이러스 검출률은 13.4%로 전체 조사 시료 2900건 중 389건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6100건 중 75건이 검출된 1~4월 상반기 검출률 1.2%보다 11배 증가한 수치다.
환경부는 야생조류의 분변 중 조류인플루엔자(AI) 검출률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올 겨울 AI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계기관, 농가 등에 특별히 주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해부터 전국 주요 철새도래지 12개 지역으로 대상을 확대해 전국 규모의 AI 모니터링과 야생조류 분변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일단 검출된 AI 바이러스는 분석결과 모두 저병원성으로 판명됐다.
하지만 유전자 변이로 고병원성이 될 위험성이 높은 H5형 바이러스가 지난 10월 충남 아산지역에서 15건 검출돼 겨울철 AI 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과학원 관계자는 “하반기 야생조류 AI 검출률이 크게 증가하고 H5형 바이러스도 일부 검출되는 등 이번 겨울철 AI 발생 위험성이 높아 관계기관과 사육농가의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특히, 야생동물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야생조류의 분산을 피하고 가금사육시설을 철저히 점검하는 등의 관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환경부와 과학원은 AI 집중 관리시기인 내년 4월까지 야생조류 분변검사, 이동경로 분석 등 야생조류 AI 모니터링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AI에 취약한 철새에 대한 인공위성 위치추적을 실시하고 고병원성 AI 발생지역을 경유해 국내에 회귀하는 철새에 대한 후속적인 정밀조사를 실시하는 등 신속한 대응을 펼칠 계획이다.
문의: 환경부 생물다양성과/국립환경과학원 바이오안전연구팀 044-201-7244/032-560-7150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