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으로 내년 4월부터 5개월간 열려, 광명시의 국제적 문화위상 높이는 계기
시는 지난 24일 광명시청 중회의실에서 프랑스 라스코 국 제전시 공공지역협회(이하 SPL)와 한불수교 130주년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 문화과학분야 기념 사업 '라스코 동굴 벽화‘ 국제순회 광명동굴전을 위한 의향서를 체결했다.
이날 의향서는 양기대 광명시장과 프랑스 상원의원인 베르나르 까조 SPL회장이 서명했으며, 제롬 파스키에 주한 프랑스 대사와 다니엘 올 리비에 주한 프랑스문화원장, 올리비에 르뚜 라스코 국제전시 대표이 사가 참석하여 프랑스의 국가적 측면의 관심을 엿볼 수 있었다.
라스코 동굴벽화 광명동굴전은 한불수교 13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이어서 한국 및 프랑스 정부도 앞으로 이 사업에 대한 지원과 협조를 하게 된다.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한국에서 열리는 '라스코 동굴 벽화 국제순회 광 명동굴전‘은 2016년 4월부터 9월까지 5개월간 수도권 유일의 동굴관광 지인 광명동굴에서 개최된다. 2013년 10월 주한프랑스문화원으로부터 한불수교 130주년 기념행사로 라스코 동굴벽화 국제순회전을 광명동굴 에서 개최하자는 제의에 의해 이번 사업이 시작되었으며 양기대 광명 시장 등 광명시 관련 공무원들이 2013년 12월 프랑스 라스코동굴을 방 문하는 등 양측의 긴밀한 논의 끝에 의향서 체결에 이르렀다.
양기대 광명시장은 이날 환영사에서 '세계문화유산인 라스코 동굴벽화 광명동굴전이 광명시 및 광명동굴을 국제적으로 널리 알릴 수 있는 계 기가 될 것이며, 국제적인 전시유치로 광명시 문화관광 발전은 물론 향 후 일자리 및 부가가치 창출로 이어져 대한민국과 광명시의 위상을 높 일 것‘이라고 밝혔다.
프랑스 SPL 대표자로 참석한 베르나르 까조 프랑스 상원의원은 “세계 문화유산인 라스코 동굴벽화 광명동굴전을 한·불 수교 130주년 기념사 업의 일환으로 개최하게 된 것을 뜻 깊게 생각하며, 많은 한국 국민들 이 라스코 동굴벽화를 통해 새로운 문화발견을 기대하면서 광명동굴 전의 성공을 확신한다”라고 말했다.
라스코동굴벽화 국제순회전은 2012년부터 시작해 그 동안 미국, 캐나 다, 벨기에에서 진행되었으며 올 하반기에 스위스에서 개최가 끝나면 내년 4월 광명동굴에서 아시아 최초로 개최된 후 하반기에는 일본에 서 열리게 된다.
라스코 동굴 벽화는 프랑스 남서쪽 도르도뉴의 몽티냑 남쪽에 있는 후기 구석기 시대 동굴벽화 유적으로 동굴 안의 벽화들은 BC. 15,000 년~14,5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1940년 마을소년들에 의하여 우연히 발견되었다가 197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도 수록된 중요 세계문화유산이 며, 동서양의 미술사 연표와 신석시시대의 중요 유물에 필수적으로 등 장하는 세계적인 동굴벽화이며, 2012년 프랑스 보르도, 2013년 미국 시 카고에서 라스코 동굴벽화 국제 순회 전시전을 개최하였고, 2014년 미 국 휴스턴, 캐나다 몬트리얼에서도 개최되었으며 현재는 벨기에에서 전 시회가 개최되고 있을 정도로 그 역사성 및 예술성이 뛰어난 벽화이다.
한편 수도권 유일의 동굴관광지인 광명동굴은 동굴수족관, 동굴폭포, 황금길과 황금궁전, 200m의 와인동굴이 있고 동굴예술의 전당, 동굴 홀로그램 상영, LED 빛의 세계, 다양한 전시물, 야외 물놀이 공간, 숲 과 흙길을 달리는 23인승 전기자동차 등 국내 최고의 동굴관광지로서 올 4월 4일 유료화로 재개장한다.
특히 광명동굴은 KTX광명역에서 차로 5분거리에 있고, 수도권 어디에서든 1시간 안팎에 도착할 수 있는 최적의 가족 나들이 공간이다. 지난 2011년 동굴 개방 이후 작년말까지 98만 명이 다녀갔다.
도목현 기자 jointpt@hanmail.net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