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정년 이후 황혼기에 아르바이트를 할 생각이 있다는 응답자가 10명 중 8명
하고 싶은 황혼 알바 1위 女 ‘카페알바/매장관리’, 男 ‘경비/시설관리’
입력 2016-10-22 07:50 | 기사 : 최영 기자
카카오톡

포털 알바몬이 성인남녀 1,037명을 대상으로 <황혼 아르바이트 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현대인들은 정년 이후를 생각할 때 ‘경제력 상실’이 가장 걱정된다고 답했다.


(사진제공: 잡코리아)


실제 정년 이후 황혼기에 아르바이트를 할 생각이 있다는 응답자가 10명 중 8명이상으로 많았다.

‘정년 이후 생활 중 가장 걱정되는 점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경제력 상실’, 즉 생활비가 부족할까 봐 걱정된다는 응답자가 77.0% 10명중 약 8명에 달했다.


이는 가족력 등으로 인한 ‘건강악화(46.0%)’나 ‘자녀에게 부양 부담을 지우는 것(27.3%), ‘노년의 외로움과 허전함(15.5%)’보다 훨씬 높았다.

‘정년 이후 아르바이트를 할 생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도 82.1%가 ’있다‘고 답했는데, 이러한 답변은 남성(78.5%) 보다 여성(86.2%)이 더 높았다.


정년 이후 아르바이트를 하고 싶은 이유 중에는 경제력을 높이기 위함은 물론 사회생활을 하고 싶은 마음도 큰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결과 ‘사람들을 만나 사회생활을 하기 위해(45.4%)’ 황혼 아르바이트를 하고 싶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일하는 즐거움을 위해(35.7%)’ 그리고 ‘돈을 벌어야 하는데 취업은 안 될 것 같아서(35.3%)’ 아르바이트를 하고 싶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정년 이후 아르바이트를 한다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노후에 아르바이트를 할 생각이 있다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노후에 하고 싶은 아르바이트와 이것만은 절대 하기 싫다는 아르바이트의 종류를 꼽아보게 했다.

그 결과 노후에 하고 싶은 황혼 아르바이트 1위는 ‘카페아르바이트/매장관리’로 응답률 30.2%로 가장 높았다.

특히 여성 응답자 중에는 ‘카페 아르바이트/매장관리’를 하고 싶다는 응답자가 36.4%로 가장 많았고 이어 ‘사무보조(35.9%)’를 하고 싶다는 응답자도 많았다. 이외에는 △일반점포의 판매서비스(18.9%) △편의점 판매/매장관리(18.0%) △학원/학습지 강사(14.3%) △베이비시터(14.1%) 순으로 조사됐다.

남성 응답자가 하고 싶은 황혼 아르바이트 1위는 ‘경비/시설관리’로 응답률 36.7%로 가장 높았다. 그리도 다음으로 △카페 아르바이트/매장관리(24.4%) △편의점 판매/매장관리(22.8%) △일반점포 판매서비스(18.9%)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하기 싫은 황혼 아르바이트 1위는 ‘음식점서빙/주방보조’로 응답률 29.4%로 가장 높았다.

여성 응답자 중에는 ‘음식점 서빙/주방보조’만은 하기 싫다는 응답자가 30.8%로 가장 높았고 이어 △지하철 택배/배달(25.0%) △주유소 주유/세차(23.1%) △고객상담TM(22.3%) △가사도우미(20.1%) 순으로 조사됐다.

남성 응답자가 하기 싫은 황혼 아르바이트 1위도 ‘음식점서빙/주방보조’로 응답률 28.0%로 가장 높았다. 이외에 남성 응답자는 △경비/시설관리(22.3%) △지하철 택배/배달(19.6%) △고객센터TM(19.4%) △전단지 배포(18.0%)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노후에 아르바이트를 한다면 하루 몇 시간 정도 일하고 얼마 정도 월 급여를 받는 것이 적당할까.

조사 결과 일 근무시간은 평균 5시간(26.1%)~6시간(29.8%)이 적당할 것 같다는 답변이 가장 높았다. 또 월 급여는 현재 물가 기준으로 월 150만원(25.4%)이나 월100만원(23.4%) 정도면 적당할 것 같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서울 = 잡코리아]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