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ㆍ유통 오피니언 의료
한국핀테크지원센터, 핀테크 기업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 체계 고도화
기사입력 2023-04-03 14:31 | 기사 : 임학재 기자
카카오톡


핀테크 활성화를 통해 혁신 금융 생태계를 조성하고, 금융 소비자 편익을 높이면서, 금융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지원 사업을펼치고있는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이사장 변영한, 이하 센터)는 핀테크 기업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 체계 고도화를 위해 4월 3일부터 ‘핀테크 종합 지원실’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핀테크 종합 지원실은 핀테크 기업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 상담 및 컨설팅을 위한 종합 지원 창구로 법률, 기술, 사업 모델, 세무·회계 등 핀테크 기업의 다양한 애로사항 해소를 지원한다.

먼저 신청 핀테크 기업의 규모, 사업화 정도, 업력 등 성장 단계에 따른 유형 구분을 시작으로 고용 및 투자, 네트워킹·홍보, 해외 진출 등 센터 및 타 기관의 다양한 지원 사업 정보를 연계해 제공하고 기본적인 상담을 진행한다.

또 사업 모델 고도화 및 규제 해소가 필요한 중·소 핀테크 기업에 ①디지털 금융 ②데이터 ③금융 기술, ④경영 전략·관리 4개 분야의 공공·민간부문 전문가 50명 이상으로 구성된 전문 지원단을 통해 사업화 단계부터 규제 특례 신청 및 서비스 출시·운영까지 전 주기에 걸쳐서 전담 책임자를 매칭해 밀착 컨설팅을 제공한다.

핀테크 종합 컨설팅 신청은 ‘핀테크 포털’로 접수하고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핀테크 포털 → 금융혁신지원 플랫폼 → 핀테크 상담 신청’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핀테크지원센터 변영한 이사장은 “중·소 핀테크 기업이 사업화 단계에서 직면하는 법률, 기술, 회계 등 다양한 문제점에 대한 맞춤형 지원의 필요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며 “앞으로 핀테크 종합 지원실 신설로 핀테크 기업의 창업 준비부터 사업 모델 고도화 및 성장 단계까지 전주기에 걸쳐 전문 도움이 필요할 때는 언제든지 핀테크 종합 지원실의 문을 두드려 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