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통신비 할인 효과 소멸, 물가 상승률 2%대 복귀
입력 2025-10-02 09:12 | 기사 : 박태민 기자
카카오톡


일시적인 휴대전화 요금 할인 효과가 사라지면서 1%대까지 떨어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 달 만에 다시 2%대로 올라섰다. 국제 유가 상승세 전환 등 불안 요인이 여전한 가운데, 폭염과 가뭄에도 불구하고 농산물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며 물가 상승 압력을 일부 완화했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9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06(2022년=100)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2.1% 상승했다. 이는 8월 상승률인 1.7%에 비해 0.4%포인트 확대된 수치다. 이로써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과 7월에 이어 다시 2%대에 진입하게 됐다.

지난 8월 물가 상승률이 일시적으로 둔화했던 가장 큰 원인은 SK텔레콤의 휴대전화 요금 할인 정책이었다. 이 기저효과가 소멸되면서 지난달 물가 지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휴대전화 요금이 포함된 공공서비스 물가는 8월 3.6% 하락에서 9월 1.2% 상승으로 전환하며 전체 물가를 끌어올리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가데이터처는 이러한 일시적 요인을 제외할 경우 8월 물가 상승률 역시 2.3% 수준이었을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국제 정세의 영향을 받는 석유류 가격 또한 물가 상승에 가세했다. 8월에 1.2% 하락했던 석유류 가격은 지난달 2.3% 상승으로 돌아섰다. 국제 유가의 변동성이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여전히 크다는 점을 재확인시켜주는 대목이다.

반면, 장바구니 물가와 직결되는 농축수산물 가격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농축수산물 전체 상승률은 8월 4.8%에서 9월 1.9%로 상승폭이 크게 둔화했다. 축산물과 수산물 가격 상승률이 각각 5.4%, 6.4%로 소폭 축소됐고, 특히 농산물 가격은 1.2% 하락하며 지난 6월 이후 석 달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품목별로 보면 찹쌀(46.1%)과 쌀(15.9%) 가격은 크게 올랐으나, 당근(-49.6%), 무(-42.1%), 배추(-24.6%) 등 주요 채소류 가격이 급감하며 농산물 가격 안정을 이끌었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4.2%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커피(15.6%)와 빵(6.5%) 등의 가격 상승세가 지속됐다.

정부의 일시적 정책 효과가 사라지고 국제 에너지 가격의 불확실성이 맞물리면서 물가 관리에 대한 당국의 고심은 깊어질 전망이다. 다만 농산물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물가 흐름의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신문사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