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단체ㆍ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구직자 64.44%, “자기소개서 작성 시 국어 문법 어려워”
기사입력 2015-03-12 22:12 | 기사 : 최종호 기자
카카오톡
열린 채용, 스펙초월 채용으로 자기소개서의 비중이 훨씬 커졌다. 많은 구직자들이 국어 문법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자소서에서 맞춤법 실수는 인사담당자에게 기본도 중요시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인식을 안겨주기 쉽다.

취업포털 커리어가 구직자 315명을 대상으로 ‘자기소개서 작성 시 국어 문법의 어려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입사지원용 자기소개서 작성 시 국어 문법 사용의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는가’라는 물음에 64.44%가 ‘그렇다’고 답했다. ‘가장 어려운 문법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맞춤법’이 36.3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구어체와 문어체의 구분’ (25.0%), ‘띄어쓰기’ (22.73%), ‘피동/사동 표현’ (11.36%), ‘높임말 사용’ (4.55%) 순 이었다.

‘글쓰기 또는 국어의 문법적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에는 ‘평소에 글을 쓸 일이 별로 없어서’라는 의견이 38.64%로 가장 많은 응답률을 차지했다. 이어 ‘독서의 부족’이 22.73%, ‘평소 국어 사용 시 신경을 쓰지 않고 함부로 사용해서’가 18.18%, ‘손글씨보다 컴퓨터 사용량이 늘어서’가 9.10%, ‘인터넷을 통해 신조어 또는 축약어를 자주 사용해서’라는 의견이 6.82%, ‘배운지 오래되서’ 라는 답변도 4.53%를 차지했다.

‘입사지원 시 자기소개서에서 국어(한글) 사용 능력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57.78%가 ‘매우 중요하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중요한 편이다’ (35.56%), ‘보통이다’ (6.67%), ‘중요하지 않다’ 라는 답변은 0%였다.

마지막으로 ‘자기소개서 작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국어 능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물음에는 40.0%가 ‘논리적인 문맥 연결’이라고 응답했다. ‘질문 이해 능력’ (35.56%), ‘함축 및 요약 능력’ (13.33%), ‘창의적인 언어구사 능력’ (6.67%), ‘각종 문법’ (4.44%) 로 나타났다.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