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ㆍ유통 오피니언 의료
중소기업 75.1% 신입사원 1년 안에 퇴사
기사입력 2016-09-29 22:01 | 기사 : 최종호 기자
카카오톡

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이사 윤병준)가 최근 1년 이내 신입사원을 채용했던 국내 중소기업 채용담당자 746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신입사원 퇴사율’에 대해 조사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사진제공: 잡코리아)


신입사원 중 입사 후 1년 안에 퇴사한 직원이 있느냐는 질문에 ‘있다’고 답한 곳은 75.1%였으며, ‘없다’고 응답한 곳은 24.9%에 그쳤다.

채용인원 수 대비 퇴사 인원의 경우 전체 41.5% 비율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기업이 평균 10명의 신입사원을 채용 할 경우 4명 정도가 1년 안에 퇴사한다는 계산이다.

퇴사하는 시기를 살펴보면 ‘3개월 안에 퇴사’한다는 응답자가 48.8% 비율로 가장 많았다. 이어 △6개월 안에 퇴사(25.2%) △1개월 안에 퇴사(13.2%) △9개월 안에 퇴사(7.1%) △1년 안에 퇴사(4.6%) △기타(1.1%) 순으로 조사됐다.

퇴사직원이 가장 많은 근무부서로는 ‘영업·영업관리(28.8%)’가 차지했다. 이어 △생산·현장(18.6%) △IT직(12.0%) △디자인(10.2%) △기획·인사(6.1%) △고객상담.서비스(5.7%) △연구개발(5.2%) △재무회계(4.6%) △광고·홍보(2.3%) 등의 순이었다.

인사담당자가 신입사원들과 퇴사 이유(*복수응답)에 대해 상담한 결과, ‘적성에 맞지 않는 직무’가응답률 43.6%로 가장 많았다. △연봉이 낮아서 39.6% △실제 업무가 생각했던 것과 달라서 37.3% △업무 강도가 높아서 31.4% △회사의 비전이 없다고 생각해서 28.0% △야근이 잦아서 17.7% △복리후생에 만족하지 못해서 16.6%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잡코리아 변지성 팀장은 “최근 취업난으로 인해 구직자들이 일단 취업 먼저 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결국 조직 및 직무에 적응하지 못해 조기퇴사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기업들의 입장에서도 채용공고 등록 시 채용하려는 직무 및 업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기업에 적합한 인재를 채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