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냉면, 여름철 별미지만 열량·나트륨 주의해야
입력 2025-05-25 23:37 | 기사 : 이지원 기자
카카오톡



살인적인 여름 더위가 기승을 부릴 때, 얼음 동동 띄운 냉면 한 그릇만큼 우리를 위로하는 음식은 없다. 쫄깃한 면발과 시원한 육수, 혹은 입맛 돋우는 매콤한 양념까지. 그야말로 여름을 위한 완벽한 식사처럼 보이지만, 전문가들은 냉면을 무심코 먹다가는 건강에 빨간불이 켜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당신이 지금껏 몰랐던 냉면의 두 얼굴을 파헤쳐 본다.

'가벼운 식사'는 환상! 냉면 한 그릇의 충격적인 칼로리
많은 사람들이 냉면을 다이어트식 혹은 가벼운 한 끼로 착각하곤 한다. 그러나 통계는 단호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자료에 따르면, 비빔냉면 한 그릇(약 550g)은 평균 623Kcal에 육박하며, 물냉면 한 그릇(약 800g)도 552Kcal를 기록한다. 이는 밥 두 공기를 훌쩍 넘는 열량이다.

더 충격적인 사실은 100g 기준으로 보면 비빔냉면이 113Kcal, 물냉면이 69Kcal인데, 이는 흔히 고칼로리로 인식되는 짬뽕(100g당 69Kcal)과 비슷하거나 더 높다는 점이다. 면을 주식으로 하는 냉면은 탄수화물 함량이 높아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체중 증가뿐 아니라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으니 '가볍다'는 환상은 이제 버려야 한다.

숨 막히는 나트륨 수치! 냉면 국물, 과연 약인가 독인가?
냉면의 가장 치명적인 함정은 바로 나트륨이다. 시원하고 감칠맛 나는 국물은 우리의 갈증을 해소해주는 듯하지만, 그 속에는 상상을 초월하는 나트륨이 숨어 있다. 물냉면 한 그릇에는 무려 2,618mg의 나트륨이, 비빔냉면 한 그릇에도 1,664mg의 나트륨이 포함되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하루 나트륨 권장 섭취량 2,000mg을 기준으로 볼 때, 물냉면 한 그릇이면 이 기준치를 훌쩍 초과한다. 비빔냉면 또한 하루 권장량의 절반을 넘는 수치다. 과도한 나트륨 섭취는 고혈압의 주범이며,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골다공증 등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물냉면의 육수는 짠맛이 강한 사골 육수를 사용하고, 비빔냉면의 양념에는 설탕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당뇨 환자에게는 혈당 관리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냉면을 먹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국물을 가급적 남기는 습관이다.

- 건강하게 냉면을 즐기는 '슬기로운 세 가지 방법' -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면의 유혹을 뿌리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몇 가지 현명한 섭취 습관만으로도 맛과 건강을 동시에 잡을 수 있다.

- 채소를 '필수'로 곁들여라: 무와 오이의 반전 효과 - 
냉면에 함께 나오는 무는 칼로리가 낮고, 나트륨 배출을 돕는 칼륨이 풍부하여 냉면의 단점을 보완해준다. 또한, 오이는 수분 함량이 95% 이상으로 높아 면과 국물 섭취를 줄여 포만감을 높이는 데 탁월하다. 이 두 가지 채소를 아낌없이 곁들여 먹는 습관을 들여보자.

- '양념은 최소한', '국물은 과감히 포기': 칼로리와 나트륨을 줄이는 비법 - 
냉면의 맛을 더해주는 식초나 겨자도 과하게 넣으면 좋지 않다. 특히 식초는 산성 성분이라 치아 부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나트륨 과다 섭취를 막기 위해 국물은 과감히 남기는 것이 건강을 위한 최선의 선택이다.

- 식후 양치는 '30분 뒤'가 정답: 치아 건강을 지켜라 - 
냉면에는 식초가 들어가 산성 성분이 치아 표면의 에나멜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냉면을 먹은 후에는 즉시 양치질하기보다 물로 입을 깨끗이 헹군 후 30분 정도 지난 뒤에 양치하는 것이 치아 건강을 보호하는 데 훨씬 도움이 된다.

뜨거운 여름, 냉면 한 그릇의 시원한 유혹은 뿌리치기 힘들다. 하지만 단순히 시원함만 쫓기보다, 위에서 제시된 건강 팁들을 통해 냉면을 더욱 현명하고 건강하게 즐기자. 올여름, 당신의 식탁이 더욱 건강해지길 바란다.




   
 
신문사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