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ㆍ유통 오피니언 의료
포항시, 장애인과 함께 가는 길엔 쉼표와 마침표가 없습니다.
기사입력 2013-12-27 10:21 | 최종수정 12-27 10:30(편집국) | 기사 : 포항시
카카오톡
- 장애인들의 경제적 자립·생계안정·일상생활 유지위한 노력 돋보여 - 복지욕구에 더욱 귀기울여 시민들과 함께 부족한 부분 채워나갈 것 포항시는 민선4~5기에 걸쳐 “선진일류도시 포항건설” 제일의 조건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차별없는 사회 만들기를 이어 오면서, 지난 2011년 6월 28일 “장애인과 함께하는 아름다운 동행” 선포식을 가진 이래 추진해온 다양한 장애인 복지정책들이 올 한해를 마무리하며 알찬 결실을 맺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첫 번째로 가장 먼저 관심을 가져야할 부분은 바로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일자리 확충 사업이다. 포항시의 올해 장애인일자리에는 11월 현재 1,473명이 참여 중이며, 1,003명이었던 지난해에 비해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여줬다. 시는 장애인들의 일자리는 한계가 있다는 편견에 맞서 시청로비를 비롯한 11개소의 공공건물 내에 장애인들이 직접 커피를 제작해서 판매하는 커피 전문점 히즈빈스 1~7호점과 카리타스 1~4호점을 설치· 운영해 60여명의 장애인에게 평생일자리를 제공했다. 또한 장애 유형별 맞춤형 일자리와 안마사 파견사업, 사회적 기업과의 고용장려 협약 체결 등 민간 참여 유도로 고용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거뒀다. 특히 시는 장애인생산품 홍보 특판 행사, 울릉군청을 비롯한 도내 시군 홍보투어, 기업체 생산품 설명회, 고용 장려 내용이 담긴 서한문 발송, 직업재활시설 기능보강 등을 통한 새롭고 다양한 장애인일자리 창출에 적극적인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지난 16일에는 경북장애인생산품 판매시설 포항점이 해도동에서 개소식을 가지며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경북 동부권 장애인생판품 홍보와 판매에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두 번째로 장애를 가진 시민도 기본적 인권을 보장받고 당당한 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포항시가 96억원을 투자해 장애인 편의시설과 복지인프라를 확충한 점도 크게 눈에 띈다. 시는 7억원을 들여 장애인편의시설과 소방시설을 개보수, 공연장 무대경사로 설치·핸드레일·점자블럭 등을 설치했다. 또 남구 오천읍에는 8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경상북도 여성장애인복지관을 건립 중(2014년 7월개관 목표)에 있으며, 북구 여남동 일원에는 80억원의 예산으로 내년 6월 완공을 목표로 한 북구장애인종합복지관 신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세 번째로 시는 올해 11개 사업에 97억원을 투자, 저소득 재가 장애인의 생계 안정 도모에 큰 기여를 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3,400여명의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인연금제도를 시행, 근로능력상실로 인한 소득감소 또는 장애로 인한 추가 비용을 보전 할 수 있도록 소득수준에 따라 월 2만원에서 17만6천원의 연금을 지원하고 3500여명의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경증장애인에게는 월3만원의 장애수당을 지원했다. 네 번째로 장애인의 일상생활 유지를 위해 △중증장애인 350명에게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500여명의 장애아동에게 발달재활서비스 △1~3급 여성등록장애인 출산비용 △장애등록 시 진단비용과 검사비 △장애인자녀학비 △특수학교 재학생 간접학비 △발달장애인부모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지원사격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용성 포항시장애인단체연합회장은 올 한해 “포항시와 포항시의회가 함께 장애인을 배려한 다양한 복지시책을 펼쳐 나간 것에 대한 감사”를 표하며 “이제는 장애인들도 합심해 능동적인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가는 원동력을 만들어가기 위한 혼신의 노력을 다 해야할 때”라고 했다. 장정술 포항시 주민복지과장은 “선진 도시, 선진 국가가 되는 첫 번째 조건은 장애인과 비장애인간 차별없는 사회가 되어야 할 것”이라며 “포항시의 장애인 복지정책은 단순히 일회적·물질적인 지원이 목표가 아니라 장애인 스스로 채울 수 없는 공간을 시민 모두가 함께 메꿔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라고 했다.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