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사퇴 압박에 직면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거취 문제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기류 변화는 없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는 일각에서 제기된 후보자 자진 사퇴 가능성에 대한 보도를 정면으로 반박하며, 이재명 대통령이 인사청문회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 결정을 내릴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오늘(17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두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진행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내부 보고를 받고 있다고 언급했다. 강 대변인은 "현재까지 후보자들의 거취와 관련한 기류 변화는 없다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강조하며, 대통령실 내부에서 특정 방향으로 입장이 정리되지 않았음을 명확히 했다. 이러한 발언은 두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실이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재명 대통령은 1기 내각 장관 후보자들의 인사청문회 일정이 내일(18일) 모두 마무리되면, 그간의 청문회 과정에서 드러난 쟁점들과 국민 여론의 추이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최종적인 임명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강 대변인 역시 "모든 과정을 다 살펴보고 나서 인사권으로 답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여, 대통령의 최종 판단에 앞서 충분한 숙고의 시간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이는 단순히 여론에 휩쓸리기보다는, 법적 절차와 후보자의 자격 요건 등을 면밀히 따져보겠다는 의지로 해석될 수 있다.
앞서 일부 언론에서는 "대통령실 분위기가 강선우 후보자의 자진 사퇴 쪽으로 기울었다"는 보도를 내놓았으나, 이규연 홍보소통수석은 해당 보도가 나오자마자 입장문을 통해 "사실과 다르다"고 즉각 부인했다. 이 수석은 대통령실의 공식적인 입장은 강유정 대변인의 발언과 동일하며, 추측성 보도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이러한 대통령실의 신속한 부인 조치는 후보자 거취 문제에 대한 불필요한 혼란을 방지하고, 최종 결정권이 대통령에게 있음을 재확인하는 의도로 풀이된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위장전입 및 논문 표절 의혹 등으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논문 중복 게재 및 연구비 부당 수령 의혹 등으로 각각 자격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인사청문회 과정에서도 야당은 물론 일부 시민단체들로부터 강한 사퇴 압박을 받아왔다. 이처럼 논란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대통령실이 "기류 변화는 없다"고 밝힘에 따라, 이재명 대통령의 최종 결정에 더욱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향후 대통령이 두 후보자를 임명할 경우, 야당과의 관계는 물론 국정 운영 전반에 걸쳐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특히, 협치와 소통을 강조해 온 이재명 정부의 국정 운영 기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대통령의 최종 결정은 정치권 안팎에서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대통령실은 최종 결정이 내려질 때까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