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라이프 문화 오피니언 유통 미디어
 

 

`24년 5월 농식품 수출은 39.6억불로 전년대비 7.6% 증가

편집국 | 승인 24-06-04 23:13 | 최종수정 24-06-04 23:13(편집국)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2024년 5월 기준 농식품(K-Food) 수출 누적액(잠정)이 지난해보다 7.6% 증가한 39.6억불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대비 수출 증가율은 최근 3개월간 매월 높아지고 있다.

* 농식품 수출액: (’23.5월) 36.8백만불 → (‘24.5월) 39.6(7.6%↑)
(`24.3월) 3.6%↑ → (`24.4월) 6.3%↑ → (`24.5월) 7.6%↑

품목별로 보면, 지난 달에 이어 라면, 과자류, 음료, 쌀가공식품, 김치 등 수출주력품목 중심으로 수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 주요 품목별 수출액(증감률): 라면 486.2백만불(36.2%↑), 과자 291.6(12.6↑), 음료 269.7(13.1↑), 쌀가공식품 113(42.8↑), 김치 70.7(6.4↑)

가장 많이 수출된 품목은 라면으로, 486.2백만불 수출되었다. 작년 최대 수출품목은 연초류였으나, 올해 라면 수출이 비약적으로 성장하면서 제1의 수출품목이 되었다. 5월 한달간 수출액은 1억불을 넘어선 107.3백만불을 기록하였다. 특히, 케이(K)-라면의 가장 큰 수출 시장인 중국에서 우리 수출업체의 주요 온라인 유통망 입점이 확대됨에 따라 전년대비 27.7% 증가하였다. 그 외, 미국 시장에서 71.4%, 아세안지역 24.8%, 유럽 49.5% 증가 등 전세계적으로 라면 수출은 호조세이다.

* `23년 주요 품목 수출액: 연초류 1,008.2백만불, 라면 952.4, 과자류 656.3 등

* `24.5월 누적 라면 수출액(증감률): 중국 90.6백만불(27.7%↑), 미국 81.5(71.4↑),
아세안 81.7(24.8↑), 유럽 81.1(49.5↑) 등

과자류는 전년대비 12.6% 상승한 291.6백만불을 기록하였는데, 한국 베이커리 프랜차이즈의 미국내 유통망 확대, 베이커리 원료(반죽)의 일본 수출 회복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미국에서는 주류매장(코스트코 등)부터 저가형 프랜차이즈(파이브빌로우 등)까지 입점이 확대되면서 38.3% 증가세를 보였다.

* 과자류 수출액(증감률): 미국 103.0백만불(38.3%↑), 중국 40.7(△23.8), 일본 30.3(0.3↑) 등

음료는 13.1% 상승한 269.7백만불을 기록하였다. 이는 식물성음료(중국), 에너지음료(캄보디아), 어린이음료(베트남) 등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파악된다. 음료는 본격적인 소비 시기인 여름을 앞두고 있어 앞으로도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음료류 수출액(증감률): 중국 57.1백만불(5.7%↑), 미국 39.4(8.5↑), 캄보디아 28.4(23.1↑), 베트남 27.4(11.7↑) 등

김치 수출은 6.4% 증가한 70.7백만불을 기록하였는데, 미국‧유럽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김치업계는 유럽에 상온유통김치 등 신제품 출시 및 팝업스토어 등 마케팅을 확대하고 있고, 미국내 주류매장(월마트, 코스트코 등) 입점을 확대하였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 25.8% 증가, 유럽에서 37.5% 증가하는 등 시장 개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김치 수출액(증감률): 일본 24.5백만불(△12.8%), 미국 20.5(25.8↑), 유럽 10.3(37.5↑) 등

삼계탕 등 닭고기 수출 실적은 6.6% 증가한 37.8백만불을 기록하였다. 삼계탕(열처리가금육)은 1996년 유럽연합(EU)과의 수출검역 협상 시작 이후 27년만인 작년, 검역요건이 타결되어 이번 5월 독일‧네덜란드 등 유럽 지역으로 8.5톤(약 5백만불)이 첫 수출되었다. 그 외, 신선닭고기 주요 수출 시장인 대(對) 베트남 수출이 안정화된 점 또한 수출 증가에 기여하였다.

 * 닭고기 수출액(증감률): 베트남 30.3백만불(9.1%↑), 미국 2.7(△17.2), 일본 1.6(21.8↑) 등

조제분유는 4.7% 성장한 37.1백만불 수출을 기록하였는데, 지난달까지 전년대비 감소를 보이던 것이 5월부터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우리 조제분유의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2023년 변경한 배합비 기준*에 따라 대부분의 수출업체들의 상품 등록이 완료되어 수출이 재개되었고, 캄보디아에서는 한국산이 안전하다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수출이 증가(73.6% 증가)하였다.

* 중국은 조제분유 배합비를 조정한 신 법규 시행(`23.2월~), 우리 기업들은 `23.5월부터 신상품 등록 진행 중이며, 등록 승인된 브랜드부터 순차적으로 수출 추진

* 조제분유 수출액(증감률): 중국 25.1백만불(1.4%↑), 캄보디아 6.8(73.6↑) 등

시장별로 보면 미국, 중국, 아세안, 유럽에서의 수출이 증가하였다. 특히 대(對) 중국 수출은 중국 내 소비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전년대비 증가세로 전환(2.9% 상승)되었다. 미국‧유럽은 소비가 견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각각 17.8%, 32.2% 증가하였다. 한편, 일본은 지속적인 엔저와 일본 내 고물가, 실질임금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5.8%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 주요 시장별 수출액(증감률): 미국 610백만불(17.8%↑), 중국 577(2.9↑), 일본 569(△5.8), 아세안 791(5.7↑), 유럽 282(32.2↑) 등

농식품부 권재한 농업혁신정책실장은 “우리 수출업체들의 수출대상국 현지에 맞는 제품 다양화, 시장 다변화 노력 덕분에 농식품 수출이 지속 증가하고 있다.”라며, “농식품 수출이 올해 최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수출기업을 밀착 지원하는 한편, 애로사항은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적극 해소하여 시장 개척에 전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2024년 5월말(1.1.~5.31.) 케이-푸드(K-Food) 수출 실적(잠정)

 주요 품목별

(단위 백만불, %)

구 분

2023.1.1.~2023.5.31.

2024.1.1.~2024.5.31.

증감률

○ 농림축산식품(A)

3,680.7

3,960.7

7.6

 ◈ 신선

627.2

616.2

1.8

 김치

66.5

70.7

6.4

 포도

8.5

10.1

18.8

 ◈ 가공

3,053.5

3,344.5

9.5

 라면

356.9

486.2

36.2

 과자류

259.0

291.6

12.6

 음료

238.4

269.7

13.1

 쌀가공식품

79.1

113.0

42.8

   면세점 수출액은 4월말 기준 실적까지 포함(5월말 실적은 6월말 파악 가능)

 

 주요 시장별

(단위 백만불, %)

구 분

2023.1.1.~2023.5.31.

2024.1.1.~2024.5.31.

증감률

미국

517.7

610.0

17.8

아세안

749.0

791.4

5.7

유럽(EU·영국)

213.4

282.1

32.2

중국

561.1

577.3

2.9

일본

604.6

569.4

5.8

GCC

122.8

110.3

10.2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국 40개 마을에서 특색있는 농촌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합니다!
농식품부, 김치 수출기업들과 수출 확대방안 논의
농축수산 기사목록 보기
 
인기뉴스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특별자치시"..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바르게 살기운동 서귀포시 협의회..
해운대 주말 busking performance
한화그룹, 미국 필리 조선소 인수…
국내 기..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살예방 정책 학술 심포지엄’ ..
 
최신 인기뉴스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특별자치시"..
삼성전자, 전 세계 20여 개 R&D센터에서 ‘갤럭..
예술경영지원센터, 2024 K-뮤지컬국제마켓
한국여성재단, We are Future Makers..
국제 양자과학기술 축제, 「양자 코리아..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독자투고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편집인 : 백승판,  논설위원(대기자) : 이명기외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 지국ㆍ충청ㆍ세종ㆍ대전 지국ㆍ전라도ㆍ광주지국ㆍ경상ㆍ부산ㆍ울산지구ㆍ제주특별자차도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위원장)

copyright(c)2024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