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단체ㆍ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속보)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윤 전 대통령이 문을 부수고 끌어내라”는 지시 인정

강민석 기자 | 승인 25-05-20 16:30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부터 국회 진입과 강제 연행 지시를 받았다는 증언이 처음으로 법정에서 나왔다. 이진우 전 육군수도방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이 문을 부수고 끌어내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증언하며, 계엄 당시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이 전 사령관은 20일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열린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문상호 전 국군정보사령관의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대통령이 본회의장에 들어가서 4명이 1명씩 들고 나오면 되지 않겠냐고 말했다”며 지시 내용을 공개했다. 다만 “대통령이 ‘의원’이라는 표현을 직접 사용하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 전 사령관은 계엄 이후 국회 청문회와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에서 관련 증언을 거부했지만, 이번 법정에서는 윤 전 대통령의 직접 지시가 있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인정했다.
앞서 같은 공판에서 증언한 오상배 대위는 “윤 전 대통령이 비화폰을 통해 본회의장에 진입해 4명이 1명씩 들쳐 업고 나오라,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라”고 지시했다고 밝혀, 두 사람의 증언이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군검찰은 계엄령 선포 하루 전인 지난해 12월 2일, 이 전 사령관이 ‘문을 열거나 부수는 데 사용하는 도구’, ‘대통령이 국회 해산권 있나요’ 등의 키워드를 검색한 기록을 확보하고, 계엄 계획을 사전에 인지했는지 추궁했다.

이에 대해 이 전 사령관은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과 시국 상황을 이야기하며 여러 가능성을 상상했던 것 같다”고 답했다.

윤 전 대통령의 계엄 전 발언과 관련해서는 ‘비상대권’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기억이 없으며, 지난해 11월 9일 국방부장관 공관에서 열린 군 장성 모임에서 선관위 등 병력 출동 장소가 논의됐다는 주장도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이 당시 술을 빠르게 마시고 취해 정상적으로 앉아 있기 어려운 상태였다”며 “부정선거에 대한 이야기 정도는 있었지만 특정 장소를 확보해야 한다는 논의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계엄령 선포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의 직접적인 역할과 군 지휘부의 움직임을 면밀히 조사할 방침이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빽다방 냉동 떡 곰팡이 논란…전량회수 검토중
속보) 공수처, 지귀연 판사 '접대 의혹' 수사3부 배당
사회 기사목록 보기
 
인기뉴스
5월 가정의 달 "가족" 함께 만드는 행복한 세종시..
정치칼럼) 이재명 정부 keyword "국민주권정부..
속보) 지귀연 판사 "룸살롱에서 삽겹살을 드십니까?
속보) APEC 통상장관회의, 만장일치로 공동 선..
속보) SKT 이용자 9000명, ‘유심 해킹’ 피..
 
최신 인기뉴스
타로로 여는 자기 성찰과 미래 예측…타로비법원서 출..
속보) 코스피·코스닥 강세 출발…투자 심리 개선
검찰, 김건희 여사 '샤넬 꾸러미' 수수 의혹 집중..
속보) "검찰, 박안수 전 계엄사령관의 전방 병력 ..
속보)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윤 전 대통령이..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