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현재, 전국적인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 피해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으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의 오늘 오전 6시 발표에 따르면 이번 폭우로 인한 사망자가 총 10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경남 산청에서 6명, 충남 서산 2명, 당진 1명, 경기 오산 1명이 숨지는 등 남부 지역과 중부 내륙 지역에 걸쳐 광범위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또한, 기존 실종자 외에 추가로 한 명이 확인되면서 현재까지 경남 산청과 광주 북구에서 총 8명이 실종 상태인 것으로 파악돼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번 집중호우는 주택 침수, 도로 유실, 산사태 등 막대한 시설 피해도 동반하고 있다. 중대본에 따르면 전국 14개 시·도에서 총 1만 2,921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이 중 4,638명은 아직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임시 대피시설에 머물고 있는 상황이다. 도로 침수와 토사 유실, 건물 침수 등 확인된 시설 피해만 약 4,100건에 달하며, 이는 주택, 농경지, 공공시설 등 전반적인 분야에 걸쳐 막대한 재산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기록적인 강수량은 여러 지역에서 철도 및 도로 교통을 마비시켰으며, 특히 저지대와 하천 인근 지역에서는 주민 대피령이 잇따라 발령되었다. 정부는 지난 19일부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며 비상 대응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나, 계속되는 폭우로 인해 피해 집계와 복구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를 가동하여 모든 역량을 집중해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지만, 광범위한 피해 규모로 인해 완전한 복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소방, 경찰, 군 인력이 피해 현장에 투입되어 실종자 수색과 고립된 주민 구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산사태 발생 지역과 하천 범람 지역을 중심으로 추가적인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며, 재난 취약 계층에 대한 지원도 강화되고 있다. 의료진과 구호 물품도 피해 지역으로 긴급하게 보내져 이재민들에게 필요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상청은 앞으로도 일부 지역에 국지성 호우가 이어질 수 있다고 예보하며, 산사태와 침수 등 추가적인 재난 발생 가능성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말 것을 당부했다. 정부는 이번 폭우 사태를 계기로 기후 변화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재난 예방 및 복구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는 갈수록 심화되는 자연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폭우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는 대한민국 전반에 걸쳐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정부는 관계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민간의 역량을 총결집하여 조속한 피해 복구와 함께 이재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국민들도 재난 상황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정부의 안전 지침에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