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자녀 조기 유학 및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으로 논란에 휩싸였던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전격 철회했다. 반면, ‘보좌관 갑질 의혹’이 제기되었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임명 절차를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우 정무수석은 “이 대통령은 그동안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며 깊은 고심을 거듭했다”며, “고민 끝에 이진숙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여러 의견이 있었음을 인지하고 있으나, 인사권자로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러한 결정을 내린 만큼 국민 여러분의 이해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번 지명 철회는 인사청문회가 마무리된 17명의 후보자 중 6명의 인사청문보고서가 이미 채택된 상황에서 이루어졌다. 남은 11명의 후보자 가운데 이진숙 후보자가 지명 철회됨에 따라, 강선우 후보자는 인사청문보고서 재송부 및 채택 등의 절차를 거쳐 임명 수순을 밟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진숙 후보자의 지명 철회는 후보자를 둘러싼 도덕성 논란이 국민적 공감대를 얻지 못하고, 여론의 비판이 거세지자 이에 대한 부담감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자녀의 조기 유학 과정에서의 위장전입 의혹과 제자 논문을 자신의 연구 업적으로 등재했다는 의혹은 교육 수장으로서의 자질과 윤리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며 논란을 증폭시켰다. 대통령실은 이러한 여론을 수렴하여 국정 운영의 부담을 덜고, 인사 잡음을 최소화하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보좌관 갑질 의혹에도 불구하고 임명 절차를 밟게 되면서, 대통령실이 이진숙 후보자와는 다른 판단 기준을 적용했음을 시사한다. 이는 의혹의 경중과 사안의 파급력, 그리고 해당 직책의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로 보인다. 여성가족부 장관으로서의 정책 역량과 여성 및 가족 정책에 대한 전문성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인사는 이재명 정부의 인사 원칙과 기준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낳고 있다. 대통령실은 국민적 눈높이와 여론을 반영한 인사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는 후보자에 대한 임명 강행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존재한다. 향후 국회에서의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과정과 강선우 후보자의 임명 이후 활동에 대한 정치권과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번 인사를 계기로 향후 인사 검증 시스템을 더욱 강화하고,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과제를 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