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ㆍ유통 오피니언 의료
 

 

"세종시 전체에 한글문화도시 이미지 입혀야"

세종지국 | 승인 25-01-08 17:46 | 최종수정 25-01-08 17:46(편집국)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최민호 세종특별자치시장이 도시 전체에 ‘한글문화도시’라는 이미지를 입힌다는 생각으로 모든 실국본부, 공공기관이 시설물을 정비하고 사업계획을 수립해 줄 것을 당부했다.


최민호 시장은 7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1월 확대 간부회의에서 올해를 관통하는 키워드로 한글문화도시 등 5대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반영해 새해 업무설계에 나서줄 것을 주문했다. 

그는 “새해 업무는 1년 전체를 통찰하면서 설계해야 한다”면서 “예년과 달리 올해 우리시가 추구해 가야 할 방향을 먼저 설정하고 이에 맞춰 실국본부, 공공기관이 업무를 설계해 달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세종시에 오면 누구나 여기가 한글문화도시라는 이미지를 느낄 수 있도록 시각적인 장치도 필요하다며 도시상징광장과 한글사랑거리 연계, 훈민정음탑 건설 등 여러 정책 방안을 제안했다. 

최민호 시장은 “한글도시답게 이응다리, 행복누림터로 명칭을 변경하는 것에서부터 해외 방문 시 전달하는 선물까지 한글문화도시의 색깔이 짙게 배어 나올 수 있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올해 교통 분야 최고 현안으로는 충청권광역급행철도(CTX) 건설을 꼽고, 올 연말 노선안 확정에 앞서 시민 접근성을 최우선시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대응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는 “시민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을 철도가 통과하고 거기에 역을 세운다는 분명한 원칙을 갖고 국토부의 CTX 노선안 확정 계획에 발 빠르게 대응해 달라”고 말했다. 

또한, 첫마을IC는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제2집무실 설치가 예정되어 있는 만큼 반드시 설치되어야 한다면서 한국도로공사 등과 협의에 힘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그는 “사업 주체인 한국도로공사에서도 첫마을IC의 설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정하고 있지만 비용이 문제”라며 “다만, 설치가 더 늦어지면 비용만 늘어나는 일이라는 점을 내세워 설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야간부시장 자격으로는 처음으로 확대 간부회의에 참석한 박영국 문화관광재단 대표에게는 야간관광 활성화가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각 실국, 공공기관과의 적극적인 협업을 주문했다. 

최민호 시장은 “야간관광 활성화의 목적은 결국 경제에 있다”면서 “모든 시민이 야간관광 활성화의 최종 수혜자라는 생각을 갖고 전 부서, 공공기관이 머리를 맞대 달라”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올해를 세종사랑캠페인 원년으로 선포하고 시민의식이 뿌리내려 지역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범시민 캠페인으로 확산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 마련에 전 실국이 함께 고민해줄 것을 요청했다. 

끝으로, 최민호 시장은 겨울철 기습 강설과 한파에 따른 재난이 우려된다며 특히 그늘진 도보에서 눈이 녹지 않아 낙상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각별한 대비를 당부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종시, 550억 규모 중소기업육성자금 지원
세종 지역 3개 기업, CES 세계 무대 나선다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기사목록 보기
 
인기뉴스
칼럼) 구준엽 "Loved and made in h..
속보) 검찰, 민주노총 간부 2명 추가 기소
속보) 윤석열 대통령, 중앙지법 형사25부 배당
전한길…‘윤석열 대통령 석방을 촉구하고 탄핵에 반대..
속보) 헌재 "탄핵 심판, 재판관 개인 성향에 따라..
 
최신 인기뉴스
칼럼) 구준엽 "Loved and made in h..
트럼프,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관세 부과
한동훈 "2월말, 3월 초 전후" 복귀 유력
대부업자, 군사기밀 담보로 군인에 대출·최대 3만..
에어부산 합동 감식...화재원인 규명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독자투고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