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ㆍ유통 오피니언 의료
 

 

50세 이상 부모들 “대형병원 치료가 효도다” 44% vs “아니다” 42%

기사제공 : 후와이어드 | 승인 15-08-25 09:21 | 최종수정 15-08-30 11:12(편집국)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최근 한국 사회를 뒤흔든 신종 감염병 메르스(MERS) 확산의 원인 중 하나로 대형 병원 선호 현상이 지목됐던 가운데, 50세 이상 라이프케어 멤버십 브랜드 ‘전성기’가 50세 이상 성인 500 명을 대상으로 대형병원 진료의 선호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부모가 아플 경우 병원의 크기가 효도의 척도가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는 8%, ‘그렇다’는 36%로 집계돼, 전체 응답자의 44%가 대형병원에서의 진료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효도와 ‘전혀 상관 없다’는 응답은 7%, ‘꼭 그런 것은 아니다’라는 응답은 35%로, 42%의 응답자가 병원의 크기는 효도의 척도가 될 수 없다고 응답해 병원의 크기와 효도를 연관시키는 인식에 대한 찬반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 부모 세대는 병원 진료 시 의료진의 설명이 어렵다고 느끼는 가장 큰 이유로, 35%가 이해하기 어려운 생소한 의학 용어를 꼽았으며, 11%는 너무 빠른 말투를, 20%는 대기 환자가 많아 다시 질문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의사 앞에서 이유 없이 긴장해서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17%, 결과에 대한 불안감에 설명에 집중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17%로 집계돼, 병원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겪는 심리적 요인이 의료진과의 커뮤니케이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방문 시 동행자로 가장 선호하는 대상은 역시 배우자였다. 병원 동행자 1순위는 응답자의 38%가 선택한 ‘배우자’였으며, 동행자 없이 혼자가 편하다는 응답이 26%로 그 뒤를 이었다. 아들과 딸 중에서는 말이 통하는 딸이 17%로 3위, 아들은 11%로 4위를 차지했다. 친한 이웃이나 친구를 택한 응답자는 8%였다.

본인이나 배우자가 의식 불명이거나 회생 가능성이 거의 없는 상황에 처했을 때 받는 연명치료에 대해서는 응답자 중 7%만이 ‘반드시 하겠다’고 응답했다. 과반수가 넘는 56%는 ‘상황이 닥쳐야 알 것 같다’고 응답했으며, ‘연명치료를 하지 않겠다’고 부정적 의견을 분명히 밝힌 비율도 37%에 달했다. 지난 4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65세 이상 노인 1만 4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연명치료를 찬성한다는 의견은 3.9% 에 불과했다.

또한 최근 예방적 차원에서 유방과 난소 절제술을 받아 이슈가 됐던 안젤리나 졸리처럼 ‘아직 발생하지 않은 병을 미리 수술하는 것’에 대해서는 82%가 어리석은 생각이라며 반대를 표했다. 반면 18%는 자신의 건강에 적극적으로 대처한 현명한 행동이라고 지지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간호직 구직자 10명 중 9명, “보건의료직 전망 밝다”
‘사시’ 10대 이하가 환자의 84.9% 차지
좋은생각 기사목록 보기
 
인기뉴스
한국AI콘텐츠협회와 (주)잡이언트 국민취업평생포털 ..
속보) 배우 김수미씨 향년 75세로 별세
청소년 신분증 확인 의무를 다한 선량한 사업자 부담..
인문학 칼럼) 파우스트, 방황하는 아름다움에 대하여
대림동 일대 대규모 불법담배 제조·유통 일당 검거
 
최신 인기뉴스
속보) 배우 김수미씨 향년 75세로 별세
“항공우주·신재생에너지로 청년 일자리 창출”
대전시, 2024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AI로 만든 영화만 참가하는 제1회 대한민국 AI국..
서울디자인어워드 2024 시상식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독자투고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4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