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의 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태가 당초 알려진 것보다 훨씬 광범위한 지역과 기간에 걸쳐 발생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KT의 부실 대응과 축소·은폐 의혹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피해 지역이 서울 서초구와 경기 고양시 일산 등지로 확대되고, 피해가 없었다고 보고했던 날짜에도 100건에 가까운 피해가 있었던 사실이 뒤늦게 밝혀지면서 이용자들의 불신과 분노가 극에 달하고 있다.
20일 국회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이번 무단 결제 피해는 기존에 알려진 서울 서남권과 경기 일부 지역을 넘어 서울 서초구와 동작구,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등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KT가 "피해가 없었다"고 국회에 보고했던 지난 4일과 5일에도 100건에 육박하는 피해(약 3,050만 원)가 발생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KT는 피해자 수를 278명에서 362명으로, 피해 건수는 527건에서 764건으로 정정해야만 했다.
이처럼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배경에는 KT의 소극적이고 자의적인 대응 방식이 자리 잡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KT는 해킹 방식이 'ARS 인증 신호 탈취' 하나일 것이라고 단정하고, 이와 관련된 피해 집계에만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피해자들 사이에서는 본인이 하지 않은 'PASS 인증' 기록이 남았거나 '카카오톡 무단 로그인'을 경험했다는 증언이 잇따르고 있어, KT가 다른 해킹 가능성을 외면한 채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은 "KT가 거짓 변명만 늘어놓았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며 "이제야 찔끔찔끔 주요 정보를 내놓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질타했다. 그는 KT가 피해 사실을 인지하고도 의도적으로 축소·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지금이라도 모든 소액결제 이용 고객에게 직접 결제 현황을 고지하고 피해 전수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사태가 일파만파 커지자 KT는 "5일 새벽 비정상적인 시도를 차단한 이후 무단 결제 피해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계속해서 드러나는 새로운 피해 사실로 인해 그 신뢰성은 바닥에 떨어진 상태다. 고의적인 축소·은폐 시도에 대한 비판이 커지면서 과거 SKT 사태보다 더 강력한 제재와 배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