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검사팀의 당원 명부 압수수색으로 '통일교 교인 12만 명 입당' 의혹이 불거지자, 국민의힘이 "통계학적으로 문제 될 것 없는 정상적인 숫자"라고 항변하고 나섰다. 그러나 의혹의 핵심인 당비 납부 핵심 당원, 즉 '책임당원'의 규모와 이들의 구체적인 입당 시기에 대해서는 입을 닫으면서, 논란을 해소하기보다는 의혹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9일, 특검이 120만 명의 통일교 명단과 약 500만 명의 자당 당원 명부를 비교해 12만 명의 공통 인원을 추출한 것에 대해 통계적 착시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우리 당원이 500만 명에 가까워 대한민국 국민의 10%에 해당한다"며 "어떤 명단이든 120만 명 규모라면 그중 10%인 12만 명 정도는 우리 당원일 가능성이 통계학적으로 맞다"고 주장했다. 특정 종교 신도의 조직적 입당이 아닌, 자연스러운 분포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10% 논리'는 즉각 허점투성이라는 반박에 부딪혔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는 "500만 명 당원 명부는 탈퇴 처리를 하지 않아 유령 당원이 포함된 숫자"라며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책임당원 명부와 대조하는 것이 맞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의 책임당원은 약 74만 명 수준으로, 이를 기준으로 하면 통계적 해석은 완전히 달라진다. 당 지도부는 12만 명 중 책임당원 비율이 "매우 미미하다"고만 답했을 뿐, 정확한 수치 공개는 거부했다.
의혹의 또 다른 핵심은 입당 시점이다. 만약 12만 명의 입당이 2023년 3월 전당대회를 앞둔 특정 시기에 집중되었다면, 이는 당내 선거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기획 입당'의 강력한 증거가 될 수 있다. 이 질문에도 당 지도부는 "(그 기간 가입자는) 극히 미미하다"는 답변만 반복하며 구체적인 자료 제시는 피했다.
국민의힘은 이처럼 의혹의 실체를 해명하기보다는 특검 수사의 절차적 위법성을 부각하며 역공에 나서는 모양새다. 장동혁 대표는 "압수수색 영장 집행이 위법하다"며 특검을 고발하겠다고 밝혔고, 송 원내대표 역시 "특검이 가져온 명단이 진짜 통일교 명단인지 확인할 길도 없다"며 수사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러한 지도부의 대응과 별개로 당내에서는 당원 명부가 통째로 넘어간 것에 대한 위기감이 감지된다. 한편,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통일교 12만, 신천지 10만 등을 합치면 그 당은 유사종교 집단에 지배당한 정당"이라며 "꼭두각시 정당이 됐다"고 맹비난해, 이번 사태가 단순한 수사 대응을 넘어 당의 정체성 문제로까지 비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