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ㆍ유통 오피니언 의료
 

 

우원식 의장, ‘제2회 이산가족의 날’ 기념행사 참석

편집국 | 승인 24-09-18 11:49 | 최종수정 24-09-18 12:10(편집국)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우원식 국회의장은 15일 오전 KBS아트홀에서 열린 2회 이산가족의 날’ 기념행사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우 의장은 저도 누님 두 분이 북한에 있는 이산가족으로 2010년 이산가족 상봉 참석자 중 최고령의 어머니를 모시고 마침내 큰 누님을 상봉할 수 있었다면서 반세기보다 더 긴 60년 만의 만남은 2박 3일 순간으로 지나고 북으로 떠나는 버스를 눈물로 배웅하면서 단장의 고통이라는 생이별의 고통을 절절하게 실감했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이어 “1983년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이후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질 때마다 헤어졌던 혈육을 찾아 부둥켜안는 모습을 보면서 온 국민이 같이 울었다며 이산가족 문제만큼은 온 국민이 한마음이라고 말했다.

 

우 의장은 또 이산의 현실은 일부러 선택한 것도 아니고 무얼 잘못해서 받는 고통도 아니라는 것을 우리 국민 모두 알고 있다며 그래서 이산가족 문제만큼은 더욱 정치가 해결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이어 이산가족 상봉이 중단된 지 벌써 6년이 넘었고 그 사이 상봉을 기다리다 돌아가신 분이 2만 명이 넘는다며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중 생존자가 이제 3만 7천 명 정도밖에 되지 않는데 그 중 약 85%가 70대 이상이어서 정말 시간이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우 의장은 이산가족 상봉은 남북 당국 어느 쪽이든 조건을 걸어서도이벤트성으로만 이뤄져서도 안 된다며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상시 체제를 만들어야 하고당장 어렵다면 서신 교환과 통신 왕래만이라도 하루빨리 재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우 의장은 남북 관계에서 정치·군사적인 문제는 정부가 맡아서 하더라도 이산가족과 같은 인도적 문제는 민간과 국회가 나서서 할 수 있도록 해야 되고 또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산가족인 제가 국회의장이 된 것은 남북관계와 한반도 평화의 역할을 하라는 소명이기 때문에 어떻게든 활로를 꼭 열어보겠다고 말했다.

 

이산가족의 날은 남북 이산가족의 생사확인 및 교류를 촉진하고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하여 매년 추석 전전(前前)(음력 8월 13)로 지정된 법정기념일이다.

 

이날 기념식에는 이산가족들과 관련 단체국회의원정부 관계자 등 320여 명이 참석했다행사에는 김영호 통일부장관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태영호 민주평통 사무처장기덕영 이북5도위원회 위원장장만순 일천만이산가족위원회 위원장등이 참석했고국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영배 의원(외교통일위원회 간사), 국민의힘 김건 의원(외교통일위원회 간사), 국민의힘 박충권 의원 등이 함께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금주의 국회 정례브리핑 (24.9.23.~24.9.29.)
24.9.16.~24.9.20. 국회주간일정
국회 기사목록 보기
 
인기뉴스
속보) 곽종근 (전)특전사 사령관, 윤 대통령 "정..
속보) 공수처, 이정섭 검사 '공무상 비밀누설' 기..
속보) 이재명 "재난 예비비 총 4조 8,700억 ..
긴급속보) 정부, 안동·청송·영양·영덕 특별재..
속보) 경찰, '장제원 성폭력 고소', 전 비서 추..
 
최신 인기뉴스
속보) 경찰, '장제원 성폭력 고소', 전 비서 추..
속보) 여당 "헌재가 결단을 내려 할 때, 尹 선고..
속보) 민주 47.3%, 국힘 36.1%…오차범위..
속보) 경찰 “김성훈 구속영장 기각 원인", "윤 ..
속보) 헌재, 尹 탄핵 심판 결론 논의 중…평결 시..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독자투고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