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ㆍ유통 오피니언 의료
 

 

「2025년 부산창업패키지 지원사업」첫 통합공고 시행… 참여기업 본격 모집

부신지국 | 승인 25-03-07 12:44 | 최종수정 25-03-07 15:22(편집국)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오늘(7일)부터 3월 24일까지 창업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단계별로 맞춤 지원하는 「2025년 부산창업패키지 지원사업」의 첫 통합공고를 시행해, 참여 기업을 본격적으로 모집한다고 밝혔다.

사업별로 별도 추진하던 방식을 개선해 올해 처음으로 창업패키지 지원사업을 함께 공고한다.

시는 올해 부산기술창업투자원(이하 창투원) 출범으로 창업지원체계를 일원화해 총괄적·통합적 지원을 하며, '4에스(S, STAGE)' 프로그램으로 사업구조를 개편해 사업 효율성을 향상하고, 우수기업 상위단계 지원으로 단계간 유기적 연계성을 강화하는 등 성장단계별 창업기업의 안정적 성장을 지원한다.

‘4에스(S)’ 프로그램은 ▲[프리 스테이지(PRE-STAGE)] 창업에 관심 있는 누구나 상시 참여할 수 있는 ‘창업온(ON) 패키지’ ▲[셋-업 스테이지(SET-UP STAGE)] 예비창업자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예비창업 패키지’ ▲[빌드-업 스테이지(BUILD-UP STAGE)] 3년 이내 기술창업기업의 성공적인 사업 안착을 위한 종합 보육(인큐베이팅)을 지원하는 ‘초기창업 패키지’ ▲[스케일-업 스테이지(SCALE-UP STAGE)] 업력 7년 이내(신산업분야 10년 이내) 지역 유망 창업기업의 확장(스케일업)에 필요한 심층 지원 프로그램인 ‘창업도약 패키지’로 구성된다.

특히, 창업 진입장벽 완화를 위해 창업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창업 진단을 받을 수 있는 '창업온(ON) 패키지'를 신설하고,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예비창업자 대상 맞춤형 프로그램을 신설했다.

‘부산 창업온(ON) 패키지’는 창업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창업 진단부터 분야별(경영‧세무‧법률 등) 전문가 자문(컨설팅), 창업 교육, 투자자 및 지역 창업가와 교류 지원 등 연계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참여 방법은 온라인 부산창업포털(www.busanstartup.kr) 또는 오프라인 창업카페(부산역 유라시아플랫폼(동구 소재))에서 공고 기간과 상관없이 상시 신청할 수 있다.

‘부산 예비창업 패키지’는 부산 소재 예비창업자 50명을 선발해, 1인 최대 2천만 원까지 사업자금을 지원하고, 기업 역량강화 교육, 교류 지원. 우수기업 평가를 통한 창투원 후속 사업인 ‘초기창업 패키지’ 등을 연계 지원한다.

또한, '초기창업 패키지'에는 지원 대상과 사업화 자금 지원을 확대하며, '도약 패키지'는 신산업 분야 창업기업의 경우 업력 10년 이내로 지원 대상을 확대하는 등 창업 극초기부터 거대 신생 기업(유니콘 기업*)으로의 도약까지 연결성 강화를 통한 단계별 맞춤 지원으로 창업기업의 지속 성장을 지원한다.         
*유니콘 기업: 기업가치 1조 원 이상 비상장 신생기업(스타트업)

‘부산 초기창업 패키지’는 부산 소재 업력 3년 이내 기술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초기창업기업 40개 사와 재창업기업 10개 사 등 50개 사를 선발한다. 사업화자금 최고 5천5백만 원, 입주공간(티움) 무상 지원, 기업기초역량진단 등 종합적인 보육(인큐베이팅)으로 초기창업기업의 성공적 사업 안착을 지원하며, 우수기업은 평가를 통해 후속 사업인 ‘창업도약 패키지’를 연계 지원한다.

‘부산 창업도약 패키지’는 부산 소재 업력 3년 이상 7년 미만의 성장 가능성이 있는 우수한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올해부터 인공지능 등 신산업 분야의 경우 업력 10년 이내로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 선발 규모는 20개 사 내외로 사업화자금 최대 5천만 원(기본 1천6백만 원 내외), 기업진단, 비즈니스모델(BM) 점검, 기술이전 등을 지원한다.

박형준 시장은 “창업지원체계를 일원화해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정책을 펼쳐 신생기업(스타트업)의 성장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우리시는 창업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민관 협력을 더욱 확대하고, 혁신 기술을 보유한 신생기업(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 경북 의성 산불,'축구장 1천여 개 면적' 피해‥이재민 2천여 명
"부산형 라이즈(RISE)" 본격 시행… 지역발전 허브 대학 육성에 5년간 1조 원 투입
(경상ㆍ부산ㆍ울산)지국 기사목록 보기
 
인기뉴스
속보) 곽종근 (전)특전사 사령관, 윤 대통령 "정..
속보) 공수처, 이정섭 검사 '공무상 비밀누설' 기..
속보) 이재명 "재난 예비비 총 4조 8,700억 ..
긴급속보) 정부, 안동·청송·영양·영덕 특별재..
속보) 경찰, '장제원 성폭력 고소', 전 비서 추..
 
최신 인기뉴스
속보) 경찰, '장제원 성폭력 고소', 전 비서 추..
속보) 여당 "헌재가 결단을 내려 할 때, 尹 선고..
속보) 민주 47.3%, 국힘 36.1%…오차범위..
속보) 경찰 “김성훈 구속영장 기각 원인", "윤 ..
속보) 헌재, 尹 탄핵 심판 결론 논의 중…평결 시..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독자투고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