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뉴스 댓글에서 발생하는 '좌표찍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론사 및 이용자 알림 시스템을 도입한다.
좌표찍기는 특정 기사에 조직적으로 공감을 몰아주거나 악성 댓글을 집중적으로 남기는 행위를 의미하며, 이러한 활동이 감지될 경우 언론사와 이용자에게 즉시 알리는 기술적 조치가 포함된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1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 회의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뉴스 운영 시스템에 대한 질의에 답했다. 최 대표는 "공감을 비정상적으로 늘리는 활동에 대해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했다"며 "해당 조치는 오는 4월 28일경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네이버 자체 기술을 통해 이상 패턴을 감지한 기사를 언론사에 즉시 알리고, 이를 통해 언론사가 댓글 운영 방식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또한, 이용자들도 비정상적인 트래픽 증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공지문을 제공하는 방안도 마련된다.
이날 과방위원들은 AI 학습 관련 저작권 침해 소지에 대해서도 질의했다. 올 들어 지난 1월엔 지상파 3사가 "네이버의 AI 서비스 '하이퍼클로바X'에 자사 뉴스를 동의 없이 학습했다"는 이유로 서울중앙지법에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최 대표는 "AI 학습에 뉴스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는 약관이 있을 때는 이용했지만 개정 후인 현재는 학습에 사용하지 않는다"며 "최근에는 저희(네이버)가 AI 기술을 언론사에 제공하고, 언론사는 저희에게 학습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줄 수 있는 방식으로 협약을 맺는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네이버의 새로운 대응 조치가 온라인 여론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