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속보) 부산 시내버스, 극적인 노사 합의로 정상 운행 재개

부산지국 | 입력 25-05-28 13:43




28일, 부산 시내버스 노사가 극적인 합의에 성공하며 출근길 시민들의 발을 묶었던 총파업 사태가 일단락되었다. 전날 밤샘 협상에도 불구하고 임금 협상 결렬로 첫차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던 부산 시내버스는 시민들에게 큰 혼란을 안겨주었다. 그러나 추가적인 교섭 끝에 노사 양측이 조정안에 합의하면서 시내버스 운행이 전면 재개되었다.

부산 시내버스 노조는 27일 밤늦게까지 이어진 임금 및 단체협약 조정 회의가 결렬되자, 28일 새벽 첫차부터 총파업에 돌입했다. 이로 인해 부산 시내 147개 노선, 약 2,500여 대의 시내버스가 운행을 멈추면서 출근 시간대 시민들은 극심한 교통 불편을 겪었다. 부산시는 즉각 비상 수송 대책을 가동하여 도시철도와 경전철의 증편 운행, 전세버스 투입, 승용차 요일제 한시적 해제 등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노력했다. 이는 2019년 이후 6년 만에 발생한 대규모 시내버스 파업으로, 시민들의 우려가 컸던 상황이었다.

파업은 오전 내내 계속되었지만, 노사 양측은 부산지방노동위원회에서 추가 교섭을 이어갔다. 치열한 논의 끝에 결국 오후에 극적인 합의에 도달하며 파업이 해제되고 버스 운행이 정상화되었다. 구체적인 합의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양측이 양보와 타협을 통해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결단을 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시내버스 파업은 비록 단시간에 마무리되었지만, 부산 시민들의 대중교통 의존도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대중교통이 유일한 이동 수단인 지역 주민들과 출퇴근 직장인들에게는 큰 어려움으로 다가왔다. 시는 파업 기간 동안 비상 수송 대책을 통해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애썼으나, 시내버스 운행 중단으로 인한 도심 교통 정체와 대중교통 혼잡은 피할 수 없었다.

이번 합의는 당장의 혼란을 진정시켰지만, 향후 부산 시내버스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임금 인상 폭과 시의 재정 지원 문제 등 구조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노사정 간의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대중교통 시스템 전반에 대한 재점검과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비상 계획 수립에 대한 논의도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부산 대중교통의 미래를 위한 건설적인 대화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청년 빚더미 경고등…생활비에 내몰려 개인회생, "자살 충동"까지
속보) '캡틴 아메리카' 복장 주한 중국대사관 난입 시도자, 1심서 실형 선고
(경상ㆍ부산ㆍ울산)지국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단독) 김건희, 특검 조사서 대부분 진술 거부…
서울 강서구 폭력조직 34명 검거…신규 조직원 대거..
"조국혁신당, '조국 체제' 복귀 속도…조기 전당대..
속보) 김건희 특검, '집사 게이트' 김예성 구속영..
이재명 대통령 국민임명식·대규모 집회로 경찰 6천..
속보) "대법원, '울산시장 선거개입' 황운하·송..
속보) "김건희 특검, 국민의힘 당사 압수수색 완강..
속보) 국방부, '내란특검 수사' 이승오 합참 작전..
6.27 대출 규제 효과 가시화…서울 부동산 관망세..
속보) 코스닥, 0.05% 상승 출발 814.48 ..
 
최신 인기뉴스
단독) "친딸 성폭행해 임신시킨 50대 아버지…
속보) 코스피, 3220선 안착 출발…미국 기술주 ..
속보) 한정애, 정부에 '대주주 기준 50억 유지'..
김건희 특검, '김여사 목걸이' 서희건설 전격 압수..
속보) 내란특검, '계엄 표결 방해' 국민의힘 조경..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 재판' 4회 연속 불출석..
"당사로 오라" 텔레그램 집중 살포…조경태, '계엄..
속보) 김건희 특검, 공정위 압수수색…'집사 게이트..
속보) 조국·정경심 등 여권 인사, 광복절 특사로..
속보) 경찰, ‘차명 주식거래 의혹’ 이춘석 의원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