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내란 특별검사팀의 칼끝이 당시 여당이던 국민의힘 지도부를 정조준하고 있다.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했던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특검 조사에서 "계엄 당일, 추경호 당시 원내대표 측이 국회가 아닌 당사로 모이라는 텔레그램 메시지를 집중적으로 보냈다"고 진술하며 '국회 공전' 시도의 구체적인 정황을 폭로했다. 여기에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추 전 원내대표 간의 통화 사실까지 새롭게 드러나면서, 헌정질서를 수호해야 할 국회의 기능을 마비시키려 한 조직적인 시도가 있었는지에 대한 수사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조경태 의원은 11일 오전부터 약 5시간에 걸친 특검 참고인 조사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조 의원은 "국회의장은 본회의장으로 모이라고 하는데, 추 전 원내대표 측은 본회의장이 아닌 당사로 오라는 문자를 집중적으로 보냈다"며 "텔레그램을 통해 적극적으로 당사로 오라고 했던 분들에 대해서도 조심스럽지만 조사를 해야 할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말해, 사실상 표결을 방해한 이들에 대한 수사를 촉구했다.
이날 조사 과정에서 특검팀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통화 내역도 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 의원은 "계엄 당일인 12월 3일 밤 11시 12분, 추 전 원내대표와 한 전 총리가 7분 이상 통화한 것이 나왔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한 전 총리가 '국무위원들이 모두 반대했는데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강행했다'는 취지의 이야기를 추 전 원내대표에게 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는 당시 여당 지도부가 계엄 선포의 부당성과 위법성을 인지하고도 국회의원들의 본회의장 참석을 막아 계엄 해제를 저지하려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증폭시키는 대목이다.
작년 12월 4일 새벽,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은 재적 108명 중 18명에 불과했다. 특검팀은 이처럼 저조한 참석률의 배경에 윤석열 전 대통령과 추 전 원내대표 등 당시 지도부의 조직적인 개입이 있었는지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비상 의원총회 장소를 국회와 당사로 수차례 변경하며 의원들에게 혼선을 준 행위가, 헌법에 명시된 국회의원의 표결권을 침해하고 내란 행위에 동조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법리 검토를 진행 중이다.
특검의 수사망이 당시 여당 지도부의 '계엄 당일 행적'을 향해 촘촘히 좁혀오면서, 정치적 파장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전망이다. 조 의원의 폭로를 시작으로 향후 소환될 의원들의 진술에 따라, 추 전 원내대표를 비롯한 지도부 인사들의 줄소환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