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3 내란 사태의 진상을 규명 중인 특별검사팀이 국회의 계엄 해제 표결을 조직적으로 방해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국민의힘 중진 조경태 의원을 소환하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조 의원은 당시 당 지도부의 불참 지시 정황에도 불구하고 표결에 참여한 소수파 의원 중 한 명으로, 특검은 그의 진술을 통해 당시 국민의힘 지도부의 구체적인 개입 정황을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조경태 의원은 오늘(11일) 오전 7시 50분경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했다. 취재진과 만난 조 의원은 "내란에 대해 경험한 부분을 소상히 말씀드리기 위해 왔다"고 밝히며, "비상계엄 당일 혼선이 빚어졌던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당시 새벽에 벌어진 일들에 대해 아는 대로 진술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특히 조 의원은 작심한 듯 당내 특정 세력을 겨냥해 "아직도 내란은 끝나지 않았다"며 "당내에 내란 동조 세력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아직까지도 '윤 어게인'을 주창하는 그런 세력들은 내란 동조 세력이라고 규정한다"면서 "이 세력들이 빨리 당을 떠나주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는 내란 사태에 대한 당내 책임론을 정면으로 제기한 것으로, 향후 국민의힘 내부에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특검팀은 조 의원을 상대로 지난해 12월 4일 새벽,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에 대한 국회 본회의 표결을 앞두고 당시 추경호 원내대표를 비롯한 국민의힘 지도부가 소속 의원들의 국회 진입을 막거나 표결 불참을 조직적으로 지시했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당시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단 18명만이 본회의에 참석해 계엄 해제에 찬성표를 던졌으며, 조 의원은 이들 중 한 명이다. 특검은 이들 18인을 제외한 대다수 의원이 표결에 불참하게 된 경위에 당시 지도부의 위력에 의한 표결권 방해가 있었는지 법리 검토를 진행 중이다.
특검은 이미 당시 상황을 재구성하기 위해 우원식 국회의장과 일부 의원들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를 마쳤다. 특검은 조 의원의 진술을 통해 당시 의원총회 장소가 수차례 변경된 과정, 단체 대화방에서 오고 간 지시 내용 등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보하고, 이를 추경호 전 원내대표 등 피고발인들의 혐의를 입증할 핵심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조 의원의 소환 조사를 기점으로 '계엄 표결 방해 의혹'에 대한 수사가 당시 당 지도부를 향해 본격적으로 뻗어 나갈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