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의 메시지 삭제 기능이 대폭 개편되어, 전송 후 5분 이내로 제한되었던 삭제 가능 시간이 최장 24시간 이내로 늘어난다. 또한, 삭제된 메시지의 표기 방식이 변경되어 1대1 대화방을 제외하고는 누가 메시지를 삭제했는지 특정할 수 없게 된다. 이번 업데이트는 지난 2018년 해당 기능이 처음 도입된 이래 약 7년 만의 대규모 변화로, 이용자들의 대화 환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2일 카카오에 따르면, 이번 카카오톡 메시지 삭제 기능 개편은 발송 실수를 보완하고 이용자들의 대화 부담감을 낮추며 더욱 원활한 소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기존에는 메시지 전송 후 5분 이내에만 상대방이 읽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자들은 이제 메시지를 보낸 후 24시간 이내라면 언제든지 삭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실수로 보낸 메시지나 뒤늦게 삭제를 원하는 메시지에 대한 대응 시간을 대폭 확대한 것이다.
특히 눈에 띄는 변화는 삭제된 메시지의 표기 방식이다. 기존에는 삭제된 메시지 자리에 '삭제된 메시지입니다'라는 말풍선이 남아 있었지만, 이제는 피드 표기 방식으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1대1 대화방이 아닌, 여러 명이 참여하는 단체 대화방에서는 특정 메시지가 삭제되었다는 사실만 알 수 있을 뿐, 어떤 사용자가 해당 메시지를 삭제했는지는 더 이상 파악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익명성 강화 조치는 발송자의 부담을 줄여주는 동시에, 사적인 대화의 프라이버시를 더욱 보호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번 업데이트는 카카오톡 버전 25.7.0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며, 사용자들의 기기와 운영체제(OS)에 따라 적용 시기는 다를 수 있다.
카카오 관계자는 이번 개편에 대해 "대화의 부담감을 낮추고 원활한 소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메시지 삭제 기능을 대폭 개선했다"고 설명하며, 사용자 경험 향상에 초점을 맞췄음을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변화가 불필요한 논쟁을 줄이고 이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것이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는 반면, 특정 메시지 삭제의 주체를 알 수 없게 되어 오히려 혼란을 초래하거나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될 수 있다.
하지만 카카오가 사용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메시지 삭제 기능을 전향적으로 개선한 만큼, 향후 실제 사용 환경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