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기장‘수출용 신형연구로 개발사업’내년 1분기 정상착공 기대

부산시 | 입력 13-12-19 09:09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기장군과 기장군의회의 집안싸움 양상으로 비춰져 내년 1분기 착공 어려움이 예상되던 기장 ‘수출용 신형연구로 개발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기장군 방사선 의·과학산업벨트 구축의 핵심사업인 ‘수출용 신형연구로 개발사업’이 지난 11월 절차상 하자를 내세운 기장군의회의 ‘공유재산관리계획(안)’ 부결로 제동이 걸려 차질이 예상되었다. 이에 따라 주관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원자력진흥정책과)와 부산시, 원자력연구원 등은 기장군의회에 대한 설득과 의견 수렴을 위해 지난 12월 13일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박홍복 기장군의회 의장 등 군의원들은 연구로 건설과 관련 사전절차 불이행 등 절차상 하자 지적과 △장안읍 일대 하수종말처리장 5년 내 조기완공 및 그린벨트 해제 △방사선 관련 기업의 유치확대와 본사이전 △방사선동위원소 생산판매 법인 설립 시 기장군 본사 입지 △향후 지역경제 활성화 및 고용확대 △원자로 안전대책 등에 대한 미래창조과학부와 부산시의 정책적 지원대책을 요구하였다.

기장군의회는 관련기관 간 간담회 개최 후 요구사항 상당부분이 정책에 반영될 것으로 보고 12월 23일 개최되는 기장군 임시회에서 협약(안) 및 공유재산관리계획(안) 동의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기장군이 지역구인 하태경 의원도 국가시책과 지역발전의 상생협력을 위해 미래창조과학부·부산시와 군의회간의 중재에 적극 나서 이번 사업이 원만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였다.

부산시는 이번에 군의회의 동의가 이루어지면 기장군에서 한국원자력연구원으로 사업 부지를 이전할 수 있게 되고 방사선 의·과학산업벨트의 핵심시설인 수출용 연구로 사업의 2014년 상반기 공사 착공이 가능해져 2016년 말 완공과 시운전을 거쳐 2017년 말에는 연구로가 본격 가동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수출용신형연구로개발사업
해외수입에 의존하던 암 조기진단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의 대량생산과 연구 등을 목적으로 한 사업이다. 개발사업이 완료되면 국내수급이 안정되고 중성자를 이용한 고품질 반도체 생산, 비파괴 검사 등 다양한 방사선 연구를 할 수 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14 부산 ITU 전권회의, 홍보 활동 본격화 -부산시, ITU 전권회의 대학생 서포터즈 출범
- 신세계사이먼 부산 프리미엄 아울렛 -생활밀착형 작은도서관에 도서구입비 3억원 지원
건강정보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 "위법" 구속적부..
속보) 해병특검, 'VIP 격노' 회의 김용현 전 ..
속보) 법무부, 특검에 '윤석열 전 대통령 인치 위..
속보) 내란 특검, 조태용 전 국정원장 압수수색…계..
속보) 코스피 3200선 하루 만에 하락…외국인·..
속보) 노동부·경찰, '맨홀 사망' 인천환경공단 ..
속보) 부산, 202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개..
속보) 내란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3차 강제 구..
'채 해병 특검' 박정훈 대령, 1년 11개월 만에..
속보) 정은경 복지부 장관 후보자, 공공의대·지역..
 
최신 인기뉴스
김계리 변호사 尹 영치금 계좌 공개 ,“윤석열 돈 ..
속보) 비트코인, 역사상 처음으로 12만 달러 돌파..
속보) 법무부, 윤석열 전 대통령 영치금 400만원..
속보) "갑질 이어 음주운전까지…박정택 육군 수도군..
속보) 6월 수출 598억 달러 기록…역대 6월 중..
속보)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에 박인규 서울시립대..
속보) 조원철 법제처장, 이명구 관세청장, 여성 병..
속보) 교육차관 최은옥, 차관급 12명 인선
선행매매 호재 기사로 수익 챙긴 기자들…금감원, 선..
국민권익위, 영풍 석포제련소 토양오염 실효적 정화 ..
 
신문사 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