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SK텔레콤, 삼성전자와 5G 핵심 장비 개발

김한결기자 | 입력 18-11-08 18:52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은 삼성전자와 함께 5G SA 기반 교환기 핵심 기술 및 프로토타입 장비 개발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5G 국제 표준은 LTE와 장비를 일부 공유하는 5G NSA(Non-standalone ; 5G-LTE복합)와 전체 네트워크를 오롯이 5G장비로 구성하는 5G SA(Standalone ; 5G단독 규격)로 나뉘는데 SA규격은 NSA규격보다 기술 개발이 어렵지만 향상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양 규격간 기술 개발 속도는 약 1년 정도 차이가 난다.

이번에 SK텔레콤과 삼성전자가 개발한 ‘5G SA 교환기’는 무선기지국과 인터넷망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5G SA교환기에는 △패킷 분류, 품질 점검, 과금, 전송 등 순차적으로 거쳐야 할 단계를 한번에 수행하는 ‘데이터 병렬 처리 기술’ △성격이 비슷한 데이터를 모아 압축 전송하는 ‘데이터 가속 기술’ △블록을 쌓듯 보조 장비를 탈부착 하는 ‘기능 모듈화’ 기술이 처음 탑재됐다.

5G SA 교환기와 관련 기술이 현장에 적용되면 초기 5G 대비 약 2배의 데이터 처리 속도, 반응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초고화질 영상 스트리밍이나 사물간 통신시에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고 대규모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기능 모듈화 기술을 응용해 국방·금융기관·연구소로 연결되는 데이터 통로에 ‘양자보안’ 기술을 더하거나 자율주행 관제센터·지진 관측소 등 찰나의 끊김도 없어야 하는 중요 시설에 ‘데이터 하이패스’ 기능도 넣을 수 있으며, SK텔레콤은 5G 를 앞서 구축하는 한편 미래 성능 향상을 고려해 5G SA 등 다음 단계로 수월하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5G SA로 전환이 자유로운 5G NSA교환기를 별도 개발해 현장에 구축하고 있다.

SK텔레콤은 5G SA교환기 성능 향상과 부가 기능 개발 연구를 지속해 단계별 5G 업그레이드 시점에 맞춰 이 장비를 현장에 구축할 계획이다.

박진효 SK텔레콤 ICT기술원장은 “6월 5G SA 표준 발표된 후 발빠르게 기술 개발에 돌입해 성과를 조기에 낼 수 있었다”며 “5G는 오랜 기간 국가 핵심 인프라로 활용되는 만큼 중장기적 시야로 상용화를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경훈 삼성전자 부사장은 “5G SA 코어 기술 확보는 5G 통신망 진화의 중요한 초석”이라며 “보다 유연한 5G 네트워크는 고객들이 원하는 수많은 통신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8일(현지시간)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국제 표준화 단체 NGMN(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 주관 ‘IC&E 2018’ 행사에서 5G SA 장비 개발 성과 등을 발표하고 글로벌 이통사와 제조사 관계자들에게 5G 상용화 준비 현황을 소개했다.

[서울=SK텔레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미소비자기술협회, CES 2019 혁신상 수상작 발표
제4회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
산업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부산 사상공단 공장서 LPG 폭발…2명 중상·초등..
속보) '황제 수감' 의혹...법사위, 9월 1일 ..
중부 비 소강, 이번엔 호남에 '물폭탄'…광주 시간..
양육비 '월 20만원 미만' 받으면 국가가 선지급…..
국민의힘 새 사령탑에 '재선' 장동혁…김문수 꺾고 ..
한미 정상회담 계기 70조원대 경협…원전·조선·..
속보) 정부, '2025년 세법개정안' 확정…내달 ..
속보) 김건희 특검, '통일교 자금' 의혹 권성동 ..
속보) 코스피 9.94포인트(0.31%) 하락한 3..
이재명 대통령 "한반도 평화·비핵화 위해 긴밀 협..
 
최신 인기뉴스
속보) 서울고검, '김건희 허위경력 의혹' 재수사 ..
서울 구로구 고등학교 분리수거장서 수류탄 발견…군경..
단독) 故 노무현 대통령 참배 "조국 눈물"
속보) 민주당, '노란봉투법' 필리버스터 강제종결,..
'사망자 금목걸이 절도' 30대 검시관 "죄송하다"..
이효리, 개물림 사고 고백 "손가락 절단될 뻔…신경..
'노란봉투법', 野 퇴장 속 본회의 통과
이재명 대통령 "한반도 평화·비핵화 위해 긴밀 협..
순천 레미콘 공장 질식사고, 결국 전원 사망…공장장..
"비어있는 운전석"…휴게소 주유 차량이 덮친 고속도..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