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소속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해 12월4일 새벽, 국회에 진입한 계엄군이 국회 본관 일부 전력을 차단했었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확인했다”며 “국회 기능을 마비시키려 위헌·위법적인 단전 조치를 취한 것”이라고 밝혔다.
내란 특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만약 계엄군이 지하가 아닌 본관 전체의 전기를 끊었거나 그 조치가 조금 일찍 이뤄졌다면 국회는 단전으로 인한 혼란에 빠져 비상계엄을 해제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같은 사실은 지난 2월6일 헌법재판소에 출석한 김현태 단장의 증언과도 일치한다”고 강조했다. 12월4일 새벽 0시50분경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이 김현태 단장에게 전화해서 "전기라도 차단하는 방법이 없겠나"라고 말했고, 국회 본관에 진입해 있던 김 단장이 "찾아보겠다"라고 답변한 사실이 증언을 통해 드러났는데, 두 사람의 통화가 끝난 지 약 15분 후 실제로 단전이 이루어졌다는 설명이다.
민주당 의원들은 "국회 병력 투입은 질서 유지 차원이었다"는 윤 대통령의 주장과 배치된다. 윤 대통령은 2024년 12월12일 대국민담화에서는 ‘만약 국회 기능을 마비시키려 했다면 단전, 단수 조치부터 취했을 것이다’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계엄군이 국회를 단전시킨 배경에는 계엄 해제 의결을 막으려던 윤석열의 지시가 있었다. 이래도 계엄군 투입이 ‘질서 유지 목적’인가” 비판했다. 또한 “주요 기관에 대한 단전·단수는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장관에 의해 사전에 치밀하게 준비됐다.국회 뿐만 아니라 문화방송(MBC), 제이티비시(JTBC), 경향신문, 한겨레, 김어준의 뉴스공장 등 언론사도 조치 대상이었음이 드러났다”며 “윤 대통령이 단전·단수를 시도한 기관이 어디인지, 누구에게 지시했는지, 군·경·소방에 구체적 지시가 하달됐는지, 실제 단전 시도가 있었는지 명명백백하게 수사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