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비상계엄 이후 정부가 새로 임명한 공공기관장이 48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45명은 국회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이후 임명됐으며, 특히 8명은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뒤 자리를 맡았다.
48개 기관을 부처별로 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가 6곳이며 국무조정실·국토교통부가 5명, 문화체육관광부·산업통상자원부·해양수산부·환경부 4명, 고용노동부·보건복지부 3명 등이다.
정부는 대선 직전까지 임기가 만료되거나 공석인 공공기관장 50명을 추가로 임명할 수 있어, 정권교체기마다 반복되는 보은성·알박기 인사 논란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공공기관장은 해당 기관의 운영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정권이 바뀔 때마다 대규모 인사가 이루어져 기관 운영의 연속성이 저해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이번 인사는 윤 전 대통령의 탄핵과 파면 이후 단행된 만큼, 정치적 목적이 개입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권교체기에 이루어지는 기관장 인사가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이루어질 경우, 공공기관의 독립성과 전문성이 약화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공공기관 운영의 안정성을 위해 기관장 임명 절차를 보다 투명하게 하고, 임기 보장을 강화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또한, 기관장이 정치적 입김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임명 과정에서 정치적 중립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차기 정부는 이번 논란을 고려해 공공기관 운영의 신뢰성을 확보할 대책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 정권교체기 인사 논란이 반복되는 만큼, 인사 원칙과 절차를 명확히 하고 공정한 검증 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