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민생회복 소비쿠폰, 어디서 어떻게 쓸까?…헷갈리는 사용법 총정리

이수민 기자 | 입력 25-07-08 12:30



전 국민에게 지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오는 21일부터 시작되는 가운데, 어디서 어떻게 써야 하는지에 대한 시민들의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소비쿠폰은 지역 소상공인 지원과 골목상권 활성화라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설계된 만큼, 사용할 수 있는 곳과 없는 곳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어 사용 전 꼼꼼한 확인이 필요하다.

소비쿠폰은 오는 7월 21일부터 9월 12일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지급된 금액은 11월 30일까지 모두 사용해야 한다.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은 잔액은 자동으로 소멸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원칙은 대기업 직영 매장이 아닌, 지역의 소상공인 매장에서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 원칙에 따라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와 같은 대형마트나 백화점, 기업형 슈퍼마켓(SSM)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쿠팡, G마켓 등 모든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도 불가능하다.

가장 헷갈리는 부분은 프랜차이즈 매장이다. 핵심은 "직영점"이냐 "가맹점"이냐의 차이다. 스타벅스처럼 본사가 전국의 모든 매장을 직접 운영하는 "100% 직영점"에서는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다.

반면, 파리바게뜨, 교촌치킨, BHC, 그리고 대부분의 동네 편의점처럼 점주가 본사와 계약을 맺고 직접 운영하는 "가맹점"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다. 다이소처럼 직영점과 가맹점이 섞여 있는 경우에는 가맹점에서만 쓸 수 있다. 정부는 소비자들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쿠폰 사용이 가능한 가맹점에는 별도의 안내 스티커를 부착할 예정이므로, 결제 전 스티커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도 주의가 필요하다. '배달의민족'이나 '쿠팡이츠' 앱을 통해 미리 결제하는 방식은 온라인 결제로 간주되어 쿠폰 사용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만나서 결제' 또는 '현장 결제'를 선택한 뒤, 배달원이 가져온 식당 소유의 카드 단말기로 직접 결제하는 경우에는 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 가능 매장이라 할지라도 구매가 제한되는 품목이 있다. 담배, 복권, 상품권 등 환금성 상품은 살 수 없으며, 택배 요금이나 공공요금 납부에도 사용할 수 없다. 소비쿠폰의 본래 취지에 맞게 현명하고 계획적인 소비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 3만 시민, '박정훈 대령 항소 취하' 특검에 촉구
속보) 김건희 특검, '공천개입 의혹' 김영선·김상민 동시 압수수색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6년의 침묵 깬 김건모, 전국 투어 콘서트로 가요계..
단독) 세종시, 대통령 제 2 집무실 임기내 완성
"죽음의 환각 파티"... 마약성 감기약에 빠진 1..
이재명 대통령, 새마을금고 '관리 사각지대' 질타…..
특검, 국힘 원내대표실 재압수 시도…'의장 부재' ..
'해삼 7만원' 횟집…가격 미표시·위생법 위반 적..
속보) 검찰, '사법농단' 양승태 항소심도 징역 7..
전공의 76% 돌아왔지만…필수의료는 '초토화'
김정은, 푸틴과 함께 시진핑 양옆에…
김주애 ..
속보) 코스피, 5.40포인트(0.17%) 오른 3..
 
최신 인기뉴스
단독) 세종시, 대통령 제 2 집무실 임기내 완성
단독) 통합자세의학회 ㆍ셀업유니온 업무협약체결
속보) 9월 첫 거래일, 코스피 21.43p(0.6..
윤석열 전 대통령, 7차례 재판 불출석…법원, 피고..
속보) 검찰, '사법농단' 양승태 항소심도 징역 7..
尹, 수감 49일간 영치금 2억 8천만원…73차례 ..
속보) 경부선 KTX 탈선 참사, 경찰 코레일 본사..
속보) 8월 수출, 반도체 ‘역대 최대’ 실적, 1..
100일 대장정 정기국회 개막…'개혁 입법' vs ..
"속옷 차림으로 막무가내 저항"…尹 체포영장 CCT..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