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발생해 다수의 사상자를 낸 경부선 KTX 열차 탈선 사고와 관련해 경찰이 강제수사에 본격 착수했다.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의 조사와는 별개로, 경찰은 사고 책임 소재를 규명하기 위해 오늘(1일) 오전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본사와 관련 지역 본부에 대한 동시다발적인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충남경찰청 강력범죄수사대는 이날 오전 대전 동구에 위치한 코레일 본사와 사고 관할 지역인 대구경북본부 등 여러 곳에 수사관들을 보내 사고 관련 기록과 내부 문건, 안전 관리 규정 및 유지보수 일지 등을 확보하고 있다. 이번 압수수행은 업무상과실치사상 혐의를 적용해 사고의 직간접적 원인을 파악하고, 열차 운행 및 관제, 선로 유지보수 등 과정 전반에 걸쳐 안전 규정 위반이나 인재(人災) 정황이 있었는지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번 사고는 지난 8월 25일 오후, 승객 300여 명을 태우고 서울역을 출발해 부산으로 향하던 KTX-산천 열차가 충청남도 천안 부근을 지나던 중 갑자기 궤도를 이탈하며 발생했다. 이 사고로 승객 1명이 사망하고 70여 명이 중경상을 입는 등 큰 인명피해가 났으며, 사고 구간의 선로와 전차선 등이 크게 파손되어 경부선 상하행선 운행이 장시간 중단되는 극심한 혼란을 빚었다.
경찰은 압수물 분석을 통해 사고 당시 열차의 속도, 관제 시스템 기록, 기관사의 조작 내용 등 운행 관련 데이터는 물론, 사고 지점의 선로와 신호 체계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 및 보수가 규정대로 이루어졌는지를 집중적으로 확인할 방침이다. 특히 사고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선로 전환기 결함이나 노후화된 선로 문제 등이 사전에 인지되었음에도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사고 발생의 원인이 차량 결함인지, 선로 등 시설 관리 문제인지, 또는 관제 시스템의 오류인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할 것"이라며 "압수물 분석이 끝나는 대로 관련 책임자들을 차례로 소환해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경찰의 강제수사 착수로 국내 철도 안전 시스템 전반에 대한 불신이 커지는 가운데, 사고의 명확한 원인 규명과 함께 책임자에 대한 엄정한 처벌이 이루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