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속보) 위기설 새마을금고 "이대로 괜찮은가?"

백설화 기자 | 입력 25-05-10 08:14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서울 지역 새마을금고 3곳 중 2곳이 지난해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대손충당금이 급증하면서 금고의 재무건전성이 급격히 악화된 탓이다. 서울 지역 부실채권 규모는 3조2000억원을 넘어서며 전국 새마을금고 전체 부실채권의 20%를 차지했다.


9일 <매일경제>가 서울 지역 229개 단위 새마을금고의 2023년도 경영공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금고 가운데 154곳이 순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자 금고 수는 전년(82곳) 대비 72곳 증가했다.


서울 지역 금고들은 2022년 213억원의 순이익을 냈으나, 2023년에는 3459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전환했다. 특히 서대문구의 A금고는 404억원의 순손실을 내면서 가장 큰 폭의 손실을 기록했다. 은평구 B금고는 169억원, 동작구 C금고는 124억원의 손실을 각각 기록했다. A금고의 경우, 분양대금을 투자한 PF 사업장에서 276억원 전액 손실이 발생한 것이 손익 악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부실 채권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연체 3개월 이상 대출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NPL)은 지난해 기준 3조2984억원으로, 1년 전보다 1조3000억원 이상 증가했다.


금고의 경영 악화는 법적 다툼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A금고가 동일인 대출한도를 초과하고 금고 자금을 불법 사용해 손실을 초래했다며 검찰에 고발한 상태다. 이에 A금고 측은 중앙회를 상대로 276억원의 손실과 이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A금고는 당시 중앙회가 추가 자금 집행을 막아 손실이 커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부실 금고에 대해 인근 금고와의 흡수합병 등을 통해 예금자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중앙회 관계자는 “자체적으로 정상화가 어려운 금고는 합병을 통해 예금자 피해를 최소화하고 회원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 차기 대선 3자 구도서 이재명 52.1% 과반 지지…김문수 31.1%, 이준석 6.3%
속보) 김문수, 한덕수 단일화 협상 또 결렬…국민의힘 후보 교체 수순 돌입하나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김건희 여사 청탁 의혹" 통일교 핵심 관계자 특검..
한낮 33도 폭염 속 주말 남부엔 150mm '물폭..
속보) 특검, 대통령실 정조준... '이종섭 출국..
"원희룡 참석" 사전 인지 정황...삼부토건 주가조..
임성근, 여론전 후 진술거부… "수사 조롱" 비판에..
'평양 드론 작전', 지휘계통 무시한 '무기록 비밀..
속보) 김건희 여사 15년 전 산 모조품" 목걸이,..
속보) 네이버, AI 전환기 속 견조한 성장… 쿠팡..
속보) 코스닥, 0.62포인트(0.08%) 오른 8..
단독)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당대표 5·18민주묘지..
 
최신 인기뉴스
단독) 김도현 일병 안타까운 죽음 "아미산의 진실"
속보) 전국 대부분 강한 비…경기·강원 호우특보,..
속보) 코스피, 15.94p 내린 3,182.06 ..
단독) 조국대표, 최강국 (전)국회의원 광복절 특사..
속보) 김건희, 5년 만에 '피의자'로 특검 포토라..
속보) 김건희 여사 특검 첫 소환… 헌정사상 첫 대..
속보) 6월 경상수지 142.7억 달러 흑자…역대 ..
속보) 코스피, 삼성전자 강세에 3,200선 회복…..
속보) 정청래, '주식 양도세' 전면 재검토 지시
속보) 하남 스타필드·용인 신세계백화점 '폭발물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