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원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이명현 특별검사팀의 칼날이 대통령실의 심장부를 정조준하고 있다. 특검팀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도피성 출국" 의혹과 관련해, 당시 대통령실의 인사 검증을 총괄했던 이원모 전 인사비서관을 8일 전격 압수수색했다.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이날 오전 이 전 비서관의 주거지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관련 자료를 확보했으며, 이는 이 전 장관의 주호주대사 임명 및 출국 과정에 대통령실 차원의 조직적 개입이 있었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강제수사다.
이번 압수수색은 특검의 수사가 "윗선"으로 향하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비서관은 대통령실의 고위 공직자 인사를 검증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따라서 특검은 "해병대원 순직 사건"의 핵심 피의자 신분으로 출국금지 상태였던 이 전 장관이 아무런 문제 없이 인사 검증을 통과하고 주호주대사로 임명된 과정에 이 전 비서관이 직권을 남용했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전망이다. 피의자 신분의 인물이 외교관으로 임명되어 해외로 나가는 전 과정이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된 것 아니냐는 의혹의 중심에 이 전 비서관이 서 있는 셈이다.
특검의 수사는 비단 이 전 비서관 개인에만 머물지 않는다. 특검팀은 지난 4일부터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 장호진 전 국가안보실장 등 이 전 장관의 출국 과정에 관여한 전 정부 고위 인사들에 대해 동시다발적인 압수수색을 진행하며 포위망을 좁혀왔다. 또한 7일에는 대통령기록관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서버를 압수수색하며 이 전 장관의 임명과 관련된 대통령실 내부의 전자 결재 기록과 이메일 등 객관적 물증 확보에 총력을 기울였다. 일련의 과정은 법무부의 이례적인 출국금지 해제와 외교부의 신속한 외교관 여권 발급 등 전 과정이 대통령실의 지휘 아래 유기적으로 작동했다는 의심을 전제로 하고 있다.
정치권은 특검의 수사가 대통령실 인사라인을 직접 겨누자 극도로 긴장하는 모습이다. 야권은 "국가기관이 총동원되어 핵심 피의자를 해외로 도피시킨 국기문란 사건의 실체가 드러나고 있다"며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반면 여권과 전 정부 관계자들은 공식적인 반응을 자제하면서도, 수사의 파장이 어디까지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원모 전 비서관에 대한 강제수사는 결국 이종섭 전 장관의 대사 임명을 최종 재가한 인물이 누구인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불법성은 없었는지를 밝히는 수순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향후 정국에 거대한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