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직 해병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18일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이는 임 전 사단장의 '구명 로비'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강제 수사로, 특검이 사건의 핵심 인물들에 대한 수사망을 더욱 좁히는 모습이다.
특검팀은 오늘 오전 임 전 사단장의 주거지에 수사관들을 파견하여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 임 전 사단장은 2023년 7월 고 채수근 상병 순직 사건 당시 해병대 1사단장으로, 사건 조사 과정에서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가 적용된 바 있다. 이후 해당 혐의가 삭제되는 과정에 외압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특히 임 전 사단장의 구명을 위한 로비 활동이 있었다는 의혹이 특검 수사 대상에 포함됐다.
이번 압수수색은 임 전 사단장의 자택에서 관련 자료를 확보하여, 그에게 적용된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외에 '구명 로비' 의혹의 실체를 밝히는 데 필요한 증거를 확보하려는 차원으로 보인다. 특검은 이미 지난 13일 임 전 사단장의 지인이자 해병대 출신 인사 단체 카카오톡방 '멋쟁해병' 멤버인 송호종 씨 자택을 압수수색한 바 있으며, 10일에는 또 다른 '멋쟁해병' 멤버이자 구명 로비 의혹의 핵심 인물로 지목된 이종호 전 대표의 자택과 차량을 압수수색하기도 했다. 이종호 전 대표는 윤 전 대통령 아내 김건희 여사와의 친분을 이용해 임 전 사단장의 사퇴를 막으려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팀은 'VIP 격노설'을 포함한 수사 외압 의혹 전반에 대한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11일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자택과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 임종득 당시 안보실 2차장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여 'VIP 격노설'의 실체를 규명하려는 시도를 했다. 이 전 대통령은 전날 내란 특검에 구속된 상태에서 압수수색이 진행됐으며, 특검은 이 전 대통령이 사용하던 휴대전화 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16일에는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하여 임 전 사단장의 혐의 적용 과정과 수사 외압 의혹, 그리고 기록 이첩 및 회수 과정 등에 대한 진술을 들었다. 박 대령은 특검 조사에서 'VIP 격노'가 "설이 아닌 사실"이라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임 전 사단장의 구명 로비 의혹 관련 증거를 추가로 확보하고, 이를 통해 채 상병 순직 사건의 수사 외압 의혹 전반의 퍼즐을 맞춰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강제 수사가 본격화되면서 임 전 사단장 및 관련 인물들의 추가 소환 조사도 불가피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