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선포를 전후해 단행된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을 두고 군 수뇌부가 "정상적 비공개 작전"이었다고 주장하는 가운데, 작전 전반에 걸쳐 군 공식 지휘계통을 의도적으로 배제한 정황이 속속 드러나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작전의 은밀성을 명분으로 내세웠으나, 그 과정에서 기록을 남기지 않으려 지휘체계를 무시하고, 심지어 육군 고위 장성이 해병대를 압박한 사실까지 확인되면서 군 내부의 조직적 내란 모의 의혹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사건의 중심에는 국군심리전단(심리전단)의 이례적인 작전 개입이 자리 잡고 있다. 특검팀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북한 평양에 추락한 무인기에 실렸던 대북전단은 심리전단이 직접 제작해 백령도로 운반한 것으로 밝혀졌다. 통상적인 군수 지원체계를 이용할 경우 관련 기록이 남는다는 이유로, 부대원들이 직접 전단을 옮기는 방식을 택했다는 것이다. 이는 작전 초기 단계부터 공식적인 군 시스템을 회피하려는 의도가 명백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러한 비밀주의는 백령도 현지에서 주둔 부대인 해병대와의 심각한 갈등을 유발했다. 복수의 군 관계자 증언에 따르면, 심리전단은 백령도에서 작전을 수행하면서 관할 부대인 해병대 제6여단에 작전 내용과 활동 내역을 전혀 공유하지 않았다. 심지어 부대 출입 시 필요한 검문 절차를 생략하는 등 해병대의 통제를 따르지 않아 "정체불명의 부대가 백령도에서 독자적으로 활동하고 있다"는 불만이 팽배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러한 현장의 마찰이 상부의 비정상적인 지휘 개입으로 이어졌다는 점이다. '무인기 북파 작전' 직후인 지난해 10월 말, 이승오 당시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육군 중장)이 직접 해병대 6여단장에게 연락해 "잡음이 없도록 하라"며 강하게 질책한 사실이 확인됐다. 특히 이 본부장은 "해당 부대의 보안 조치를 철저히 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합참 작전본부장이 예하 부대도 아닌 해병대 여단장에게 직접 지시를 내린 것은 명백한 지휘계통 위반이다. 당시 김계환 해병대사령관 역시 참모회의에서 이에 대한 불만을 표출한 것으로 알려져, 군 수뇌부 내에서도 해당 작전의 비정상성에 대한 인식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더욱이 합참은 작년 하반기 백령도 해병부대에 야간 방공레이더 가동 중지를 지시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된 상태다. 무인기 침투 작전의 성공을 위해 아군의 감시망을 스스로 무력화시킨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결국 대북전단 제작부터 운송, 현지에서의 작전 실행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이 공식 지휘보고 라인을 건너뛴 채 은밀하게 진행된 것이다. 이러한 정황들은 해당 작전이 단순한 대북 심리전이 아니라, 비상계엄이라는 중대한 국면을 앞두고 군 내부의 특정 세력이 주도한 '특별한 목적'의 작전이었을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이 작전 성공을 이유로 드론 관련 업체와 함께 국군심리전단에 포상금을 지급한 사실은 이러한 의혹을 더욱 짙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