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의 나토(NATO) 순방 당시 착용했던 반클리프 목걸이를 둘러싼 해명이 또다시 번복되면서, 특별검사팀의 수사가 증거인멸 가능성에 집중되고 있다. 당초 대통령실은 "지인에게 빌린 것"이라고 해명했으나, 김 여사 본인은 최근 "어머니 최은순 씨에게 선물한 목걸이를 순방 때 빌려 착용한 것"이라고 진술을 변경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이전의 '가품 목걸이를 직접 샀다'는 진술과도 상충되는 부분이어서 논란이 더욱 커지고 있다.
김 여사는 2022년 6월 나토 순방 당시 6천만 원이 넘는 고가의 반클리프 목걸이를 착용해 논란의 중심에 섰다. 공직자윤리법상 500만 원 이상의 귀금속은 재산 신고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김 여사의 재산 목록에는 해당 목걸이가 포함되지 않아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당시 대통령실은 "김 여사가 지인에게 빌린 것이기 때문에 신고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해명하며 논란을 잠재우려 했다.
그러나 지난 5월, 이 사건을 수사하던 중앙지검에 김 여사는 "가품 목걸이를 직접 산 것"이라는 진술서를 제출하며 기존 해명과 다른 입장을 밝혔다. 가품이어서 500만 원이 넘지 않으므로 재산 신고 대상이 아니라는 취지였다.
하지만 오늘(6일) 조사를 앞두고 김 여사는 반클리프 목걸이에 대해 **"자신이 모친인 최은순 씨의 선물용으로 구입했고, 이를 빌려 찼다"**고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대통령 부인이 되기 전 가품 목걸이를 구입하여 어머니에게 선물했으며, 나토 순방 시 다시 빌려 착용했다는 설명이다.
특검은 2022년부터 목걸이에 대한 김 여사의 해명이 여러 차례 바뀐 만큼, 진술의 신빙성을 강하게 의심하고 있다. 특히 최근 특검이 김 여사 오빠 김진우 씨의 장모 집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반클리프 목걸이가 감정 결과 가품으로 확인된 바 있어, 특검은 김 여사 측이 목걸이 실물을 은폐하여 수사를 방해하려 한 것이 아닌지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이에 따라 특검은 김 여사의 진술이 여러 차례 번복된 점과 실물을 은폐하려던 정황을 모두 증거인멸 우려로 판단하고, 이를 구속영장 청구 사유로 적시할 것으로 보인다. 김 여사 목걸이 관련 의혹은 단순히 재산 신고 누락 문제를 넘어, 수사 과정에서의 진술 신빙성과 증거인멸 가능성이라는 중대한 쟁점으로 발전하며 향후 사법부의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사안이 궁극적으로 진실을 규명하고 정의를 실현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할지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