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베트남이 외교·안보 분야의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2030년까지 양국 교역액 1,500억 달러 목표 달성을 위해 경제 협력을 한층 심화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베트남의 신규 원전 건설과 풍부한 희토류 등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에 한국이 핵심 파트너로 참여하는 등 미래 산업 분야에서의 협력을 전방위적으로 확대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한국을 국빈 방문한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정상회담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한-베트남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심화를 위한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이번 정상회담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국빈 초청으로, 양국이 서로를 얼마나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로 인식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경제 협력, 교역 목표 1500억 달러 재확인
두 정상은 공동언론발표를 통해 양국이 서로에게 제3위 교역국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한-베트남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10주년을 맞아 2030년까지 교역 규모 1,500억 달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양국은 베트남에 진출한 약 1만 개의 우리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무역장벽을 해소하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베트남이 추진 중인 신규 원전 건설과 북남 고속철도 사업 등 대규모 국책 사업에 우리 기업의 우수한 기술력과 경험이 기여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고, 또 럼 서기장은 한국 기업의 경쟁력을 잘 알고 있다며 적극적인 검토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 산업·공급망 협력 강화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미래 산업 분야의 협력이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양국은 베트남의 풍부한 희토류와 텅스텐 등 핵심 광물 자원과 한국의 선진 기술을 결합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이는 특정 국가에 편중된 핵심광물 의존도를 낮추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수적인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또한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분야 협력을 확대하고, 베트남의 전력망 확충과 스마트그리드 개발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날 두 정상은 과학기술, 금융, 교육, 수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10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제도적 협력 기반을 다졌다.
외교·안보 전략적 소통 확대
외교·안보 분야에서는 전략적 소통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올해 아세안(ASEAN) 및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 다자회의를 계기로 고위급 교류를 활발히 이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단호하고 통일된 국제사회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를 위한 베트남의 건설적인 역할을 당부했다.
양국 정상은 이번 회담을 통해 양국 관계가 과거를 넘어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고 평가하고,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더욱 내실 있게 발전시켜 나가기로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