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ㆍ유통 오피니언 의료
 

 

여성들의 로망 커피전문점 인기 뛰어 넘는 “브런치 카페” 고공행진

장정용 | 승인 14-07-14 13:47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요즘 커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수록 커피전문점의 개수 또한 같이 높아지고 있다. 대형커피 프랜차이즈가 아닌 이상, 소자본으로 개인카페를 열었다가는 대형 커피 프랜차이즈에 밀려 그야말로 쪽박을 차기 일 수이다.

그럼 소자본 커피숍 창업의 성공 열쇠는 무엇일까? 요즘의 카페 창업시장은 커피만을 전문으로 판매하는 일반카페가 아닌 특색 있는 카페만이 살아남고 있다.

그 대안으로 떠오르는 창업아이템이 브런치 카페이다. 브런치 카페는 일반카페에 가장 손님이 적은 낮 10~11시 사이의 고객을 유치할 수 있는 경쟁력 뿐 만 아니라, 커피 음료 이외의 브런치 메뉴로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브런치 카페의 인기가 높다고 개인이 무턱대고 브런치 카페를 열었다가 얼마 안돼서

문 닫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브런치카페는 커피숍에 단순히 브런치 메뉴를 추가한다고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아이템이 아니다. 기존 커피음료 부분과 브런치메뉴의 조화, 브런치메뉴 조리의 시간, 인력배치 등 제대로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무턱대로 단순히 브런치 메뉴만 추가해서는 재료의 로스, 인건비의 추가부담, 커피숍도 아니고 음식점도 아닌 이상한 콘셉트의 매장이 될 수 있다. 브런치카페는 일반 커피숍보다 보다 세심한 메뉴구성과 인테리어콘셉트, 인력구성, 디자인이 요구되는 창업아이템이다.

그래서 개인 브런치카페보다는 프랜차이즈 브런치카페가 보다 성공활률을 높이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중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브런치카페 프랜차이즈가 카페 아마떼<www.euamote.co.kr>이다.

카페 아마떼는 40여가지의 음료와 30여가지의 브런치메뉴를 제공한다. 그로인해 한 곳에서 식사와 커피를 해결 할 수 있는 브런치 카페만의 큰 장점이 있다. 경쟁력 있는 브런치 메뉴로 고객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간편한 조리방식으로 창업주도 만족시킨다. 고객과 창업주 모두를 만족시키는 카페 아마떼는 믿을 수 있는 프렌차이즈 본사 (주)한국창업경제연구소<http://www.changup.biz>에서 론칭한 브런치 카페 브랜드이다.

전국에 40개의 매장을 오픈했고, 올 6월에 서울 대방점, 남양주 덕소점, 양주 덕정점이 오픈예정이다.

카페 아마떼 본사 최재현 본부장에 따르면 여성 창업주들의 비율도 상당하다고 한다. 태안점, 석동점, 419점, 광주서구점, 단양점, 여주점, 안면점등 전체매장의 70%가 여성창업자들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브런치 메뉴가 조리된 식품을 데워 내보내는 간편한 방식과 전문 바리스타에 의한 교육으로 초보자도 쉽게 매장을 운영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이다.

여성창업주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예쁜 인테리어와 가시성이 뛰어난 파사드 또한 여성창업주들의 시선을 모으는 것에 한 몫 했다.

전문 프렌차이즈를 통해 안전하고 경쟁력 있는 카페창업을 희망하는 여성창업주들에게 인기 있는 카페 아마떼의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된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프랜차이즈 소곱창 전문점 "칠육곱창" 인기 뜨거워..그 비결은?
한국미디어일보와 메디칼리뷰 전략적 업무제휴 협약
인터뷰 기사목록 보기
 
인기뉴스
속보) 경찰, '장제원 성폭력 고소', 전 비서 추..
긴급속보) 미얀마 7.7 강진, "강진 사망자 1천..
속보) 민주당 '이재명 산불 방화' 가짜뉴스 유포한..
속보) 한덕수 “산불 이재민 일상 회복 때까지 총력..
속보) 우원식 "마은혁 임명" 권한쟁의심판, "마은..
 
최신 인기뉴스
칼럼) 4월 4일 "운명의 날" 대한민국 미래의 나..
속보) 이복현, "대통령 있었다면 상법개정 거부권 ..
속보) "헌재 앞 진공상태 반경 150m"로 확대
긴급속보) 헌법재판관 윤대통령 탄핵심판 결과 만장일..
속보) "헌재,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방청" 경..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독자투고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