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인테이크 “20-30대 43%, 끼니 제때 못 챙긴다”

최종호 기자 | 입력 16-04-13 16:08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20-30대 청춘의 43% 이상이 식사를 규칙적으로 챙겨 먹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푸드 전문업체 인테이크가 7일 설문조사 기관인 오픈서베이를 통해 20~39세 1000명을 대상으로 ‘대한민국 20-30대 식사 패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3.4%가 식사를 규칙적으로 챙겨 먹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진제공: 인테이크푸즈)


식사를 규칙적으로 챙겨 먹지 못하는 이유를 묻는 문항에는 ‘바빠서’가 36.9%로 가장 많았고, ‘귀찮아서’ 23.8%, ‘습관이 되어서’ 18.0%, 기타 21.3% 순으로 나타났다.

바쁠 때 주로 먹는 식사의 종류를 묻는 문항에는 ‘삼각김밥과 같은 즉석섭취식품’이 32%로 가장 많았고 ‘빵류’가 25.7%, ‘집 백반’ 11.3%, ‘외식’ 10.2%, ‘선식 및 두유’ 9.8%, ‘먹지 않는다’ 7.7%, 기타 3.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과 직업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불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비율이 남성의 경우 36.6%에 불과한 반면 여성의 경우 50.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업별 불규칙적인 식사의 비율은 직장인은 36.3%에 불과한 반면 전업주부는 64.6%, 무직·기타는 57.4%, 대학생은 46.3%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생활 패턴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식사의 조건을 묻는 문항에서는 ‘맛’이 34.1%로 가장 많았고, ‘편의성’이 27.8%, ‘영양 균형’이 21.6%, 기타 16.5%순으로 나타나 식사의 기본적인 목적인 맛과 영양 균형뿐만 아니라 편의성 또한 식사 선택의 중요한 가치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테이크는 최근 20-30대 젊은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이 변화됨에 따라 규칙적인 식습관을 유지하는 현대인의 비율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며, 국내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불규칙한 식사생활이 비만, 성인병, 위장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무리 바쁘고 귀찮더라도 영양 균형이 잡힌 식사를 제 시간에 섭취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유지를 위해 아주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직장인 영양 상태 설문 조사 통해 아·태지역 직장인 대다수는 주로 앉아 있는 생활 방식 때문에 비만 위험이 높은 것으로 드러나
아이들이 빨리 자란다고…환경호르몬, 스트레스로 인한 성조숙증 의심해 봐야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이진숙 방통위원장, 휴가 반려에 "씁쓸하다" 심경 ..
민주당, 김건희 여사 '황제조사' 꼼수 비판… "국..
우원식 국회의장, 수감 중인 조국 전 대표 면회… ..
이재명 대통령 '이자놀이' 경고에 금융권 '비상'…..
속보) 의정부 노인보호센터 살인 사건 용의자, 수락..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 임박… EU·중국과 막..
속보) 전국 35도 안팎 무더위 기승, 서울 37도..
인천 사제총기 살인 사건, 경찰 초동 대처 미흡 논..
김건희 특검, 공천 개입 의혹 수사 속도… 윤상현 ..
속보) '불볕더위' 전국 강타, 폭염특보 속 기온 ..
 
최신 인기뉴스
김건희 특검, 나토 순방 당시 김 여사 착용 '고가..
속보) 코스피, 소폭 하락 출발 3,184.37 기..
하루 만에 온열질환자 116명 발생…누적 2천100..
수해 복구 중인데…충청권 단체장 4인,
전원..
동시다발 태풍 발생, 한반도 기상에 미칠 영향은?
속보) "비상계엄에 정신적 피해" 시민들, 尹 전 ..
속보) 경찰, '1900억 부당이득 혐의' 방시혁 ..
속보) 양곡관리법 개정안, 국회 농해수위 소위 통과..
첫 검찰 고위 인사 임박…'尹 사단' 줄사표
속보) '단전·단수 지시 의혹' 이상민 전 장관,..
 
신문사 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