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속보) 이재명 45.9% 김문수 34.4%, 이준석 11.3%…대선 판세, 이재명 오차범위 밖 우위 지속

백설화 선임기자 | 입력 25-05-27 08:17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다가오는 대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3자 및 양자 대결 구도 모두에서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며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동아일보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5월 24일부터 25일까지 전국 성인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면접 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확인되었다.

3자 대결 구도에서 이재명 후보는 45.9%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김문수 후보(34.4%)를 11.5%포인트 앞섰다. 이준석 후보는 11.3%의 지지를 얻으며 두 자릿수 지지율을 유지했다. 5일 전 채널A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진행한 조사와 비교했을 때,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의 지지율은 큰 변동 없이 유지되었으나, 이준석 후보는 9.0%에서 11.3%로 소폭 상승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는 대선 막바지로 갈수록 이준석 후보의 지지세가 결집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가 단일화하여 양자 대결 구도로 치러질 경우에도 이재명 후보의 우세는 지속되었다. 이재명 후보는 김문수 후보와의 양자 대결에서 50.0%의 지지율로 김문수 후보(41.6%)를 8.4%포인트 앞섰다. 김문수 후보로 단일화 시 이준석 후보 지지층의 47.7%는 김문수 후보에게 향했으나, 24.4%는 이재명 후보를 선택했고, 27.9%는 ‘없음·잘모름’을 택하며 부동층으로 남아 단일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재명 후보는 이준석 후보와의 양자 대결에서도 49.3%로 이준석 후보(34.9%)에 14.4%포인트 앞섰다. 이준석 후보로 단일화 시 김문수 후보 지지층의 62.5%가 이준석 후보에게 향했지만, 이재명 후보로의 이탈은 4.1%에 그쳤다. 다만 33.4%는 ‘없음·잘모름’을 선택하여 향후 단일화의 파급력에 대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단일화 찬반 여론은 찬성 41.5%, 반대 42.2%로 팽팽하게 맞섰다. 단일화 적합 후보로는 김문수 후보가 45.4%, 이준석 후보가 25.9%를 기록했다. 대선이 일주일여 남은 시점에서 지지 후보를 바꾸지 않을 것이란 응답이 86.9%로 높게 나타났으나, 12.8%는 바꿀 수도 있다고 응답해 막판 변동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이번 조사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의 표본오차를 가지며, 응답률은 10.8%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근혜 전 대통령, 대선 앞두고 박정희 생가 방문... "나라 사정 어렵다"
외모 자부심 김문수 후보 "설난영 여사의 발언"
정치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문형배 전 헌재소장 권한대행 "윤석열 탄핵은 충분한..
이재명, 깜깜이 직전 조사서 오차범위밖 1위
한라산 비공개 구간의 장막 걷히다...백록샘과 구상..
속보) 충남 서산 모텔 화재, 1명 사망 17명 부..
이재명 대선 후보, "환자 중심" 의료개혁 공약집 ..
속보) 이재명, 중증질환 지원·취향저격 공약 발표..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직무 정지 후에도 "비화..
경찰, SPC 사고 수사 본격화…고용노동부, 고위험..
속보) 검찰, 김건희 여사 "샤넬백" 실물 확보 난..
속보) 을지로 세운상가 인근 화재, 도심 빌딩숲 위..
 
최신 인기뉴스
외모 자부심 김문수 후보 "설난영 여사의 발언"
배우 장동건, 한남동 건물 투자로 174억 시세 차..
홍장원 폭로, '비화폰' 원격 삭제 의혹, 경찰 수..
속보) 21대 대통령 선거 재외국민 투표율 역대 최..
속보) 트럼프, EU 관세 유예 결정… 7월 9일까..
속보) 전국법관대표회의, 재판 독립과 사법 신뢰의 ..
속보) 오세훈 서울시장, '정치 브로커' 명태균 사..
속보) 코스닥 717.58로 출발…공모주 활황 속 ..
속보) 대통령 안가 CCTV 확보, 尹 비화폰 기록..
'불법촬영 논란' 황의조, 시즌 막판 극적 부활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