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25% 상호 관세 부과 시점이 8월 1일로 확정되면서 한미 양국에 초비상이 걸린 가운데,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나 긴급 현안 조율에 나섰다. 대통령실은 7일(현지 시각) 양측 고위급 인사가 만나 관세 문제와 한미 정상회담 개최 등 양국 간의 핵심 현안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시한이 불과 24일 앞으로 다가온 만큼, 이번 회동은 파국을 막기 위한 막판 담판의 성격을 띠며 그 결과에 모든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대통령실 발표에 따르면, 위 실장은 이 자리에서 "굳건한 한미동맹 정신에 기초해 동맹을 더욱 강력하게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현안을 협의해 나가야 한다"는 한국 신정부의 원칙을 강조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한을 통해 공식화한 상호 관세 문제에 대해, 일방적인 조치가 아닌 대화와 협상을 통한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역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위 실장은 이를 위해 양국 안보실장 간의 긴밀한 소통 채널 유지를 희망한다는 뜻을 전달했다.
또한, 위 실장은 교착 상태에 빠진 현안들을 포괄적으로 타결하기 위한 돌파구로서 조속한 시일 내 한미 정상회담을 개최할 것을 미국 측에 공식 제안했다. 정상 간의 "톱다운" 방식을 통해 상호 호혜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경색된 양국 관계에 새로운 동력을 불어넣자는 취지다.
이에 대해 미국 측은 공감을 표하면서도 현실적인 제약을 분명히 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루비오 장관은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 대상 관세 서한이 오늘 발송되었다"고 확인하면서도 "실제 관세 부과 시점인 8월 1일까지 시간이 있는 만큼, 양국이 그전까지 합의를 이루기 위해 긴밀히 소통해 나가길 바란다"고 답했다. 이는 협상의 문은 열려있음을 시사하면서도, 정해진 시한 내에 한국 측의 "성의 있는" 조치가 없다면 관세 부과는 예정대로 진행될 것임을 압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양측은 이번 회동에서 한미 조선 협력과 같은 구체적인 경제 현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정부와 업계의 역량을 결집하여 실질적이고 상호 호혜적인 협력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위해 긴밀히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위 실장의 긴급 방미는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부과 시한을 기존 7월 9일에서 8월 1일로 한 차례 연장하며 마지막 협상의 기회를 준 직후 이뤄졌다. 정부는 위 실장의 안보 채널과 별도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을 중심으로 한 실무 협상단을 가동하며 "투트랙"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대통령실은 8일 오후 김용범 정책실장 주재로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열고 미국의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혀, 한미 간의 팽팽한 수 싸움은 당분간 최고조에 이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