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신임 국무총리가 취임 첫날인 어제(7일), 1년 5개월간 꼬인 실타래처럼 얽혀온 의정(醫政) 갈등 해결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김 총리는 어제 저녁 김택우 대한의사협회 회장,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등 의료계 핵심 관계자들과 비공개 만찬 회동을 갖고 당면 현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이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최고위급 인사가 의료계와 공식적으로 마주 앉은 첫 자리로, 대화의 물꼬를 트고 해묵은 갈등의 출구를 찾으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행보다.
총리실은 "의료계의 요청으로 당면한 의료 현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만남을 가졌다"고 밝혔지만, 이번 회동은 이재명 대통령의 적극적인 주문에 따라 성사됐다. 이 대통령은 어제 김 총리와의 첫 주례 오찬 회동에서 "전공의 복귀 문제 해결에 총리가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특별히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을 역임하며 의료계 현안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김 총리가 직접 소통의 창구 역할을 맡아 꼬인 매듭을 풀라는 것이다.
저녁 7시부터 약 1시간 30분가량 진행된 비공개 회동에서는 의대 정원 증원 정책으로 촉발된 의료 공백 사태를 해소하기 위한 심도 깊은 논의가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의료계는 정부가 기존의 정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하게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대한전공의협의회가 사직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76% 이상이 복귀의 최소 선결 조건으로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및 의료개혁 실행방안 재검토"를 꼽은 바 있다. 이는 새 정부가 이전 정부의 정책을 그대로 계승하는 것에 대한 의료계의 깊은 불신을 드러내는 대목이다.
또한,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인 의대생들의 복귀 문제도 주요 의제였을 것으로 관측된다. 2학기에도 의대생들의 집단 유급 사태가 이어질 경우, 내년에는 3개 학년(24, 25, 26학번)이 동시에 1학년 과정을 밟는 이른바 "트리플링" 현상이 발생해 의학 교육 시스템 전체가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비록 이번 첫 만남에서 구체적인 합의안이 도출되지는 않았지만, 정부와 의료계 모두 대화의 필요성에는 공감대를 형성하며 경색 국면을 전환할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정부는 오늘(8일)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다른 보건의약단체들과 만나는 등 연쇄 회동을 통해 소통의 폭을 넓혀나갈 계획이다. 김민석 총리의 "첫 단추"가 1년 넘게 멈춰있던 의정 대화의 시계를 다시 움직이게 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